학술논문
동진시기 불교의 윤회-보응 관념에 관한 고찰
이용수 1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 of Samsara and Retribution in the Eastern Jin Period: Focusing on Lushan Huiyua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수진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4권 제4호, 95~1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래 초기의 불교는 윤회와 인과응보의 교의로서 주목된다. 이는 기존의 중국적 사유를 벗어나 육체의 죽음 이후에도 존속하는 정신[神]의 관념을 상정하여 설해진다. 이와 같은 관념은 기실 중국 전통 사상에서의 생사관에 반하는 이질적인 관념에 해당하는 까닭에, 당시 불교 옹호의 입장과 배척의 입장에서 각각 그것의 수용과 부정의 견지라는 대치의 양상을 불러일으키는 지점이 된다.
오(吳) 모융(牟融)의 저서로 알려진 『모자이혹론(牟子理惑論)』은 이 신(神)의 불멸함과 그러한 신(神)이 윤회하며 보응(報應)하는 것에 관한 당시 논변의 모습을 기술하고 있다. 「이혹론」에서 모자는 불교의 윤회를 질문하는 자에게 신체의 소멸 이후에도 존속하는 혼신(魂神)의 관념을 이야기한다. 또한 이 죽음 이후에도 존속하는 신(神)의 관념에 근거하여, 선악의 행위를 현세가 아닌 내생에의 보응과 연결지어 설명한다.
이후 동진 시기 여산 혜원은 ‘육체가 소멸하여도 정신은 존속한다’는 관념에 있어 그 육체와 정신 사이에 정교한 관계성을 부여하며, 이를 통해 윤회와 인과응보의 교리를 설명한다. 이는 형체와 정신의 관계에 명확한 관점을 제시하고, 그것에 근거한 형(形)의 품부, 그리고 보응과의 구체적 연결점을 제시한 입장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혜원이 정립한 육체와 정신 사이의 이 같은 관계성은 모자가 윤회를 설명함에 있어 그 구체적 주체를 중심으로 한 형신(形神) 간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는 점과 이를 보응의 관념과 연계시키지는 않았던 것과 비교하여 한층 체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혜원이 체계화한 신불멸론에서의 이 구체적 연결점은 곧 정해진 이치[定理]로서의 운명이 아닌 적행(積行)을 통해 극에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같은 연결점의 제시는 전통적 운명론으로서의 정리(定理) 혹은 주재자에 의한 것이 아닌, 행위의 주체에 의한 주어진 운명[分命]에의 변형을 가능케 하는 논리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uddhism in the early days of tradition drew attention as Samsara and Retribution. Unlike traditional Chinese ideas, this was discussed by assuming the idea of the spirit that survives even after the body dies. In fact, this idea was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life and death in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and it became a point that distinguished support and exclusion for Buddhism at that time, respectively.
In 『Lihuo lun(理惑論)』, the arguments of the time on Samsara and Retribution are described. Mouzi explains Samsara and Retribution based on the idea of the spirit that exists even after the extinction of the body in 『Lihuo lun』. In 『Lihuo lun』, Mouzi explains Retribution of good deeds and evil deeds in connection with Samsara in the next life, not in the present life. However, when explaining Samsara and Retribution, Mouzi did not clear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pirit.
Later, Lushan Huiyuan elaborately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pirit in the idea of “the spirit persists even after the death of the body”, and explains the doctrine of Samsara and Retribution through it. This is more systematic than Mouzi was explanatined of Samsara and Retribution. Lushan Huiyuan presented a clear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pirit, and based on this,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Samsara and Retribution was presented. In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mind, the logic of Gameung(感應) and the Jeong(情) that presides over such Gameung(感應) comes into play. And this systematicity results in a logic that allows humans to change their own destiny rather than a set fate.
목차
Ⅰ. 서론
Ⅱ. 『모자이혹론』의 윤회-보응관
Ⅲ. 여산 혜원의 윤회-보응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주주의 발전의 영향요인과 정치체제의 비교
- 언론자유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부산지역 음식 배달노동자의 소득 및 산업재해 결정요인
-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외정책에 관한 연구
-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 보육교사의 정서적지지와 보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성과인증 평가지표 개발
- 부산지역 인문학 프로그램 현황 연구
- 베트남의 동아시아 한자어 연구 동향 분석
- PBL을 적용한 수업 사례연구
- 현대시에 재현된 미디어 장치와 조에의 생명 정치
- 『고승전』의 예언과 징조
- 레비나스와 정치적인 것(2)
- 동진시기 불교의 윤회-보응 관념에 관한 고찰
- 해역도시의 관광 전략화
- 중국 남동 해역을 누빈 통역가, 로버트 톰(Robert Thom)의 북경관화에 대한 인식
- 『譯語類解』 수록된 어업 관련 어휘의 특징에 대한 소고(小考)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4호 목차
- 중국의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확률형 아이템 관련 손해배상에서의 손해액의 산정 - 게임산업법 개정안(김승수의원 대표발의) 제33조의2 제2항을 중심으로 -
- 예술인 사회보장 제도의 현황 분석을 통한 법적 개선방안 제언
- 미성년 스포츠 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센터의 역할에 관한 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