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합범과 신분범, 실행의 착수시기

이용수 27

영문명
Combination and Identity Crimes, Timing of Commencement of Execution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권오걸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43권 제4호, 235~26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상판결은 주거침입강간죄는 신분범이고 그 실행의 착수시점은 후행행위인 강간을 위한 폭행·협박 시점으로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결합범에서 선행행위는 제1행위로서 ‘행위’관련적 요소로서 제2행위인 후행행위와 함께 전체로서 하나의 구성요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행위’관련적 선행행위가 신분요소로 작용한다는 판례의 태도는 신분의 개념에 충실한 결론이 아니라고 본다. 또한 주거침입강간죄가 결합범이라고 한다면 실행의 착수시점은 주거침입을 개시한 시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재판부가 “피고인은 피해자를 화장실로 끌고 들어갈 때 이미 피해자에게 유사강간 등의 성범죄를 의욕하였다고 보인다”라고 판시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주거침입유사강간죄에 대한 고의- 즉, 제1행위인 주거침입에 대한 고의와 제2행위인 유사강간에 대한 고의-를 가지고 있었음을 인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판부가 실행의 착수시점을 제1행위인 주거침입시점(화장실로 끌고가는 시점)이 아니라, 제2행위인 유사강간의 시도한 시점(폭행·협박시점)으로 판단한 것은 결합범에서의 실행의 착수에 대한 판단의 일관성을 결여한 것으로 보인다. 판례는 왜 이러한 태도을 취한 것일까? 주거침입강간죄를 결합범으로 할 때에는 그 실행의 착수시점이 선행행위인 것이 논리적임에도 불구하고 후행행위로 본 논리 모순성을, 선행행위를 신분요소로 봄으로서 그 모순을 극복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실행의 착수시점을 선행행위 보다는 후행행위에 두는 것이 피고인에게는 유리한 판단이다. 또한 비신분범으로 보는 것 보다는 신분범으로 보는 것이 신분자의 유무에 대한 판단을 요하게 됨으로 역시 피고인에게 유리한 판단이 아닐 수 없다. 피고인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신분이 없다는 주장을 할 수도 있고, 또한 신분이 있는 경우에도-주거침입이 완료했더라도- 실행의 착수에 이르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상판결에서 재판부는 주거침입강강죄를 “일종의 신분범”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참조판례에서는 “일종의 신분범”이라고 하면서도, 제33조에 의한 공범성립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판례가 표현하는 “일종의 신분범”은 사실상 “신분범”과 같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이처럼 모호한 용어의 사용은 그 모호성으로 인해 해석론상의 복잡성을 가중시킬 수 있다. 신분범인지 아닌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명확성의 원칙에도 부합하며 이론과 실무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target ruling determines that the crime of home invasion rape is a status crime and the starting point of its execution is the point of assault and threat for rape, which is a subsequent act. However, as seen earlier, in a combined crime, the preceding act is an ‘act’-related element as the first act, and together with the subsequent act, which is the second act, it forms one constituent element as a whole. Therefore, the attitude of the precedent that ‘act’-related prior acts act as status elements is not considered to be a conclusion faithful to the concept of status. In addition, if the crime of home invasion rape is a combined crime,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start of execution as the time when the home invasion began. Since the appellate court ruled that “the defendant appears to have already intended to commit sexual crimes such as pseudo-rape against the victim when he dragged her into the bathroom,” the intention for the crime of home invasion-like rape was committed from the beginning - that is, the first act, home invasion. The appellate court also acknowledged that there was intent to commit sexual assault and intent to commit pseudo-rape, which was the second act. Nevertheless, the appellate court judged that the starting point of execution was not the first act, the time of intrusion into a home (the point of dragging someone to the bathroom), but the second act, the moment of attempted pseudo-rape (the point of assault and threats), which means that the point of execution in a combined crime is There appears to be a lack of consistency in judgment regarding launch. Why did the precedent take this attitude? When the crime of home invasion rape is considered a combined crime, it can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is logical that the starting point of its execution is a preceding act, the logical contra- diction of viewing it as a subsequent act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y viewing the preceding act as a status element. Of course, from a macro perspective, it is more advantageous for the defendant to set the starting point of execution on the subsequent act rather than the preceding act. In addition, viewing a criminal as a status criminal rather than a non-status criminal requires a judgment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atus criminal, so it is inevitably a judgment that is more favorable to the defendant. From the defendant's perspective, he or she can claim that he or she has no status, and even if he or she does have status - even if the home invasion has been completed - he or she can claim that he or she has not yet begun the act. Meanwhile, in the target ruling, the court may be seen as implying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tatus crime by expressing it as “a type of identity crime…” However, in the reference case, it is said to be a type of identity crime, but mention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n accomplice under Article 33. Therefore, we cannot help but say that the type of identity crime expressed in precedents is in fact the same as “identity crime.” And the use of such ambiguous terms can add to the complexity of interpretation theory due to the ambiguity. I believe that clarifying whether or not a person is a status offender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can prevent confus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결합범
Ⅲ. 신분범
Ⅳ. 주거침입강간죄와 실행의 착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오걸. (2023).결합범과 신분범, 실행의 착수시기. 법학논총, 43 (4), 235-260

MLA

권오걸. "결합범과 신분범, 실행의 착수시기." 법학논총, 43.4(2023): 235-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