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이용수 290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Self-related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of Elder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소영 김윤영 서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9, 133~1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자살사고, 주관적 건강상태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G도에 거주하는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Statistics Program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일수록, 전세나 월세 거주자일수록, 비흡연자일수록, 대상자의 우울감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낮을수록 자살사고가 높았다. 노인의 우울은여성일수록, 연령이 80세 이상일수록, 주거형태가 전세나 월세 거주자일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살사고를 부분적으로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하여 우울 치료가 필요한 노인 대상자를우선 선별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상자의 신체적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상태등을 고려한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자살예방사업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levels of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elf-related health among elderly individuals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lated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study surveyed 330 elderly individuals residing in G c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7.0 Statistics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cluded being female, residing in rental housing, being a non-smoker, having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lower levels of self-related heal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females, those aged 80 and above, those living in rental housing, and those with a perceived poorer economic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prioritization in elderly depress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mental health statu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individuals and proposes multifaceted and proactive suicide prevention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such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9 목차
- 자녀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제8차 전국 고령화연구조사 복합표본 분석 -
- 산불피해지의 바이오차 처리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항공운송사업 운항안전 증진에 미칠 영향
- 세기관지염 환아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개발 및 수행능력평가
-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와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 성폭력 피해 의심 아동 조사 시 NICHD 수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실질적 단계 이행 실태
- 지자체 저수지 우선순위 관리대책 설정을 위한 위험특성 유형 분석
- 토석류 예측 모델을 이용한 재해취약 지역에서의 토사재해에 관한 연구
-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소방대 화재진압 확률모형 개발
- 신종위험 대비 국가위기관리 전략 수립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