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항공운송사업 운항안전 증진에 미칠 영향
이용수 238
- 영문명
- Anticipated Effect of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on Air Transportation Industry's Flight Safety Promo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구성남 이장룡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9, 23~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대재해처벌법은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경영책임자 등에 대해엄격한 법적 처벌이 적용된다는 의의를 담고 있다. 항공분야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전에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제시한 안전관리시스템(SMS)이나 인적요인 분석 및 분류체계(HFACS) 적용 등을 통해서 경영책임자의 안전에 대한 역할과 책임 중요성을 오랫동안 강조해 왔다. 하지만, 그러한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했을 경우 법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는 명확하지 않았다. COVID-19 기간중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 경영책임자들은 운항안전에 대한 관심 및 투자가 부족했고, 회사 안전문제에대한 직원들의 보고를 장려하도록 실수에 대한 인정과 면책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는 다수의 지적이제기된 바 있다. 2023년 4월 6일 첫 판례가 나온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은 조종사뿐 아니라 항공운송사업경영책임자 또한 안전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이에 관한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뜻을 함축하고있기 때문에 항공운송사업 경영책임자들은 지금보다 더 세밀하고 적극적으로 운항안전 증진에 헌신(Commitment)할 것이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has the significance that strict legal penalties are applied to managers who cause damage to human lives in violation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obligations. In the aviation sector, even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CEO have long been emphasi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S or HFACS proposed by the ICAO. However, it was not clear what to do legally if such roles and responsibilities were not fulfilled. During COVID-19, many pointed out that Korean low-cost carrier managers lacked interest and investment in flight safety, and that they lacked consideration for recognition and immunity of mistakes to encourage employees to report on company safety issu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Major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was the first case on April 6, 2023, implies that not only pilots but also air transport business managers should consider safety issues together and fulfill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ir transport business managers are expected to commit more in detail and actively to promoting flight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9 목차
- 자녀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제8차 전국 고령화연구조사 복합표본 분석 -
- 산불피해지의 바이오차 처리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항공운송사업 운항안전 증진에 미칠 영향
- 세기관지염 환아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개발 및 수행능력평가
-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와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 성폭력 피해 의심 아동 조사 시 NICHD 수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실질적 단계 이행 실태
- 지자체 저수지 우선순위 관리대책 설정을 위한 위험특성 유형 분석
- 토석류 예측 모델을 이용한 재해취약 지역에서의 토사재해에 관한 연구
-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소방대 화재진압 확률모형 개발
- 신종위험 대비 국가위기관리 전략 수립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