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석류 예측 모델을 이용한 재해취약 지역에서의 토사재해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Study for Sediment Disaster at the Vulnerable Area Using Debris Flow Estimating Mod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임종성 이호진 김성덕 조성근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9, 55~6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측할 수 없는 이상 기후위기 속에서 발생된 집중호우는 많은 산지재해를 재해취약 지역에서 발생시킨다. 본 연구 모델은 USACE가 제시한 재해취약 지역 토석류 예측 모델의 가중치를 침식-퇴적 모델에적용하여 토석류를 해석하였다. 태풍 등급이 높을수록 토석류 Peak점이 높았고, 지속시간이 긴 Peak의빈도수가 많아졌다. 식생 변화에 따른 분석은 조밀 식생으로 하단 도달 토석류 초기 Peak값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에너지가 발산으로 고진폭 fluctuation이 나타났다. 강수특성이 집중 강우에서는 토석류Peak값이 22% 이상 상승하였고, 발생시점이 빨라진 fluctuation이 나타났다. 또한, 높은 파고를 갖는 토석류 fluctuation이 나타났고, 고진폭의 밴드폭도 상당히 길게 나타났다. 토석류 발생 취약지역 밀집도가조밀한 경우 토석류 fluctuation이 조기에 발생하였고, fluctuation은 Peak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재해취약 지역에서 재해저감 대책 마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orrential rains occurring during the unpredictable climate change cause many mountain disasters in vulnerable area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bris flow mechanism by applying the multiplier of the vulnerable area debris flow prediction model presented by USACE to the erosion or sedimentation model. The higher the typhoon category, the higher the debris flow peak value, and the frequency of peaks of flow discharge with long durations increased. Analysis of changes in vegetation density showed that the initial peak value of the debris flow reaching the bottom was highest due to dense vegetation, and high-amplitude fluctuations appeared due to energy dissipation. In the case of heavy rainfall, the peak value of debris flow increased by more than 22%, and fluctuations of flow discharge occurred earlier at the elapsed time. In addition, debris flow fluctuations with high wave heights appeared, and the high-amplitude band width also appeared to be quite long. The analysis of present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prevention disaster reduction measures in vulnerable areas.
목차
Ⅰ. 서론
Ⅱ. 기본이론
Ⅲ. 수치모의
Ⅳ. 결과분석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9 목차
- 자녀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제8차 전국 고령화연구조사 복합표본 분석 -
- 산불피해지의 바이오차 처리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항공운송사업 운항안전 증진에 미칠 영향
- 세기관지염 환아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개발 및 수행능력평가
-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와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 성폭력 피해 의심 아동 조사 시 NICHD 수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실질적 단계 이행 실태
- 지자체 저수지 우선순위 관리대책 설정을 위한 위험특성 유형 분석
- 토석류 예측 모델을 이용한 재해취약 지역에서의 토사재해에 관한 연구
-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소방대 화재진압 확률모형 개발
- 신종위험 대비 국가위기관리 전략 수립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