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불피해지의 바이오차 처리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8
- 영문명
- Effect of Biochar Treatment on Change of Soil Moisture in Damaged Forest Fire A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정유경 강원석 배정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9,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에 바이오차를 처리를 통한 토양수분 변화를 살펴보고, 강우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정량적인 토양보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2019년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강릉시옥계지역으로 산불로 황폐화된 토양의 보습력을 높이기 위해 바이오차를 혼합처리한 뒤, 토양수분 변화를 관측하였다. 토양수분량은 대조구에 비해 바이오차 처리구에서 21% 정도 더 높게 나타났고, 지연시간이 3시간 정도 긴 것으로 나타나 토양보습제 처리를 통해 토양 내에 침투된 수분의 보유시간이 증가된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량의 변화는 강우특성에 영향을 받았으며, 강우량이 많고 무강우기간이 길수록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의 토양수분량이 높았다. 무강우일수가 7일 이내일 때, 대조구와 바이오차처리구간 토양수분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바이오차의 적용을 통해 건조 특성과의 관련성이 적어지고, 습윤한 환경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바이오차 처리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soil moisture through the treatment of biochar during a restoration project from forest fire damage, and aim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quantitative soil moisturizing effect of the biochar treatment. The study site was Okgye, Gangneung-si, Gangwon-do, where a forest fire occurred in 2019. Biochar was mixed to increase soil, and therefore, changes were observed. The soil moisture content was about 21% higher in the biochar treatment plot than in the control plot, and the arrival time was about 3 hours longer. It was observed that the retention time of moisture infiltrated into the soil is increased in plot treated with soil moisturizer. The change in soil moisture was also affected by rainfall characteristics. Higher precipitation and longer non-rain period led to higher soil moisture in the treatment plot compared to the control plot. When the days without rainfall was within 7day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il moisture between the control plot and treatment plot. Through the application of biochar, the characteristics of dry soil were reduced and wet condition were well maintained, confirming the effect of biochar treat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9 목차
- 자녀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제8차 전국 고령화연구조사 복합표본 분석 -
- 산불피해지의 바이오차 처리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항공운송사업 운항안전 증진에 미칠 영향
- 세기관지염 환아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개발 및 수행능력평가
-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와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 성폭력 피해 의심 아동 조사 시 NICHD 수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실질적 단계 이행 실태
- 지자체 저수지 우선순위 관리대책 설정을 위한 위험특성 유형 분석
- 토석류 예측 모델을 이용한 재해취약 지역에서의 토사재해에 관한 연구
-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소방대 화재진압 확률모형 개발
- 신종위험 대비 국가위기관리 전략 수립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