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Person-Centered Care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소희 노윤구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9, 119~1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와의 관계에서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C시와 P시 소재 상급종합병원과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근무하는 17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8월 15일부터9월 2일까지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가 조직의 윤리적 풍토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인간중심간호를 더 잘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간호의 영향요인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간중심간호를 적극적으로 실천할수 있도록 긍정적 윤리적풍토를 조성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개발하여야 하며,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수 있는 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person-centered care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A data survey was collected from August 15 to September 2, 2021 among 172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of higher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cities C and P.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WIN 23.0. As a results, the more positively the nurses perceived the ethical climat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higher th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better the person-centered car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person-centered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actively practice person-centered care should develop leadership that can create a positive ethical climate, and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improv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individual nur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9 목차
- 자녀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제8차 전국 고령화연구조사 복합표본 분석 -
- 산불피해지의 바이오차 처리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항공운송사업 운항안전 증진에 미칠 영향
- 세기관지염 환아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개발 및 수행능력평가
-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윤리적풍토와 인간중심간호와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 성폭력 피해 의심 아동 조사 시 NICHD 수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실질적 단계 이행 실태
- 지자체 저수지 우선순위 관리대책 설정을 위한 위험특성 유형 분석
- 토석류 예측 모델을 이용한 재해취약 지역에서의 토사재해에 관한 연구
-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소방대 화재진압 확률모형 개발
- 신종위험 대비 국가위기관리 전략 수립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