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의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이용수 215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Future Direction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n Art Subject: Focusing on FGI Analysi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미선 박병숙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28권 제2호, 91~1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요소, 성취기준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의 활용도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2022 개정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적용해 본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8명을 대상으로 2개 집단으로 분할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삶과 연계하여 사회통합 및 자립 기능을 함양할 수 있는 미술 교과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본 교육과정 총론의 관점과 일치하는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는 미술과에 한정된 특정한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하기보다는 미술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 장애학생의 발달을 촉진하고 시각적 소통을 통하여 주변 환경에 참여와 사회통합을 도울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술과 교과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경험이 많은 현장 교사들의 풍부한 미술 지도 방법이 제시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나타내었다.
결론: 마지막으로 이러한 미술과의 특성에 따른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 개발의 방향성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art subject and to discover the methods of the utilization of the curriculum of art subject by interview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elem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in the basic curriculum of art subjects revised in 2015.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ho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5 years i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of art subject,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divided 2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nt with the general guideline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that can foster social integration and self-reliance in connection with the lives of disabled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rather than cultivating 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limited to the art subject, it was proposed to accept art as part of lif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isabled students and help them participate and integrate into their surroundings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Conclusion: Finall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follow-up resear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department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들의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인식과 경험 탐색
- 감각통합을 활용한 몸짓상징중재가 무발화 아동의 몸짓상징과 발화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 중도중복장애 유아 교육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특수학교 전공과 저경력 교사로 살아가기
- 특수교육 분야의 질적 사례연구 동향과 과제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환하는 완전통합 장애자녀를 둔 학부모의 경험과 지원요구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사 역량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2022 개정 기본 교육과정 미술과의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 실행 관련 연구 동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