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 유아 교육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171

영문명
Qualitative Meta-analysis of Educational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for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선화 김경민 노진아 박병숙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8권 제2호, 117~1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유아를 교육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겪는 경험과 지원요구 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에 발간된 중도중복장애 유아 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물 7편을 대상으로 Nobit &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방법을 통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특성 중, 건강 문제와 놀이 그리고 의사소통 관련 특성에 주된 관심을 보였으며, 유아 중심의 교육 전략과 교사 주도의 접근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병원, 학교, 동료교사, 그리고 다양한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학부모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소통을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중도중복장애 유아 교육에서 신체적 및 정신적 부담을 느끼는 것은 물론, 교수적 접근법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놀이 중심 교육의 한계와 개별화 교육목표의 설정 및 실행에 대한 어려움이 주요 도전으로 인식되었다. 넷째,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물적, 인적, 교육적, 그리고 전문가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통합적인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국내 중도중복장애 유아를 교육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 중도중복장애 유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와 올바른 인식을 촉진하며, 효과적인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educati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Korea. Method: To achieve th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even published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ublished in Korea. The analysis followed the 7-step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proposed by Noblit & Hare (1988). Results: First, teachers showed a primary interest i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uch as health issues, play, and communication-related traits. They aimed to integrate child-centered educational strategies with teacher-led approaches. Second, teachers considered collaboration with hospitals, schools, fellow teachers, and various experts to be crucial. They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ngoing and proactive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the educational setting. Third, teachers faced challenges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educating these children, as well as in the pedagogical approaches. Specifically, they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play-centered education and the difficulties in setting and execu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goals. Conclusion: This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investigation of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educati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Korea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Through this research, we aim to promote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perception of children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early chlidhood educational setting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creating an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화,김경민,노진아,박병숙. (2023).중도중복장애 유아 교육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특수교육논집, 28 (2), 117-144

MLA

박선화,김경민,노진아,박병숙. "중도중복장애 유아 교육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특수교육논집, 28.2(2023): 11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