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방, 창조, 극화

이용수 13

영문명
Imitation, Invention, Dramatization: The Petrarchan Tradition and Sidney’s Astrophil and Stell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장성현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59집, 141~17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립 시드니의 『아스트로필과 스텔라』(1591)는 영국 소네트의 역사에서 중대한 분수령을 이룬 작품이다. 소네트가 영국에 유입된 이래로 페트라르카 시풍의 관습들은 영국 문단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소네트를 쓰는 행위 자체가 페트라르카풍의 모방을 의미하는 상황 속에서 시드니가 자신의 소네트 연작의 독창성을 확보하기란 실로 어려운 일이었다. 페트라르카 소네트의 전통을 상당 부분 추종하면서도 페트라르카 시풍의 모방자들과 자신을 차별화하고자 하는 시드니의 노력은 딜레마에 부딪치고 만다. 그러나 모방과 창조 사이의 줄다리기 속에서 시드니는 후자 쪽으로 기우는 데 성공한다. 『아스트로필과 스텔라』를 독창적인 작품으로 만드는 데 기여한 요인으로는 극화를 꼽을 수 있다. 시드니는 극화를 통해 두 연인을 현실의 살아있는 인물처럼 느끼게 한다. 아스트로필과 스텔라는 전형적인 페트라르카풍 연인들과 거리가 멀다. 두 사람의 대화로 이루어진 극적 내러티브를 제공하는 8번 노래에서, 아스트로필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스텔라의 모습은 독자를 깜짝 놀라게 한다. 그녀는 남성 화자의 구애에 대부분 침묵으로 일관하는 페트라르카 소네트의 여인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극화는 아스트로필에게도 쓰이는데, 스텔라에 대한 그의 욕망이 극화되어 음식을 달라고 외치는 것은 그가 욕망을 버릴 수 없는 육적인 존재임을 드러낸다. 그와 큐피드(성적 열망을 상징)의 관계를 알레고리적으로 극화한 것 또한 그가 금욕주의를 표방하는 플라토닉 사랑과 결별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극화는 페트라르카적 연애의 이상을 전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시드니의 작품은 영국 소네트가 페트라르카 시풍의 영향에서 벗어나 고유한 발전의 길을 걷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영문 초록

Philip Sidney’s Astrophil and Stella (1591) represents an important watershed in the history of the English sonnet. In a situation where the conventions of the Petrarchan sonnet had long dominated the English literary scene, Sidney’s attempt to claim originality in his sonnet sequence was faced with a challenging task. He couldn’t help imitating the Petrarchan model to a considerable extent; sonnet writing breaking with the Petrarchan tradition was as yet unimaginable. Hence, his fervent desire for originality often places him in a dilemma. There is a constant tug-of-war between imitation and invention in Astrophil and Stella. However, his work at last turns out to be inventive rather than imitative. What seems instrumental in achieving its originality is dramatization—especially, fashioning the lovers as forceful dramatic characters. They are by no means typical of Petrarchan lovers. In contrast to the woman who remains mostly unresponsive to the male speaker’s courtship in the Petrarchan love sonnet, Stella surprisingly confesses her love for Astrophil in the Eighth Song, which constructs a narrative out of quotations of dialogue between the lovers. As for Astrophil, his failure to renounce carnal desire for Stella—which, being dramatized, calls for “some food”—presents him as a physical presence. In addition, the allegory of Astrophil’s relationship to Cupid (who represents erotic passion) dramatizes his rejection of Platonic love, which embraces an ascetic ideal. Consequently, dramatization serves a crucial role in subverting the ideals of Petrarchan love. To conclude, Sidney’s work paved the way for the English sonnet to evolve uniquely, in a way that makes it independent of the influence of Petrarchanism.

목차

1. 들어가는 말: 1580년대의 상황
2. 모방과 창조 사이의 딜레마
3. 극화의 역할: 스텔라의 경우
4. 극화의 역할: 아스트로필의 경우
5. 맺는 말: 영국 소네트의 고유성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성현. (2023).모방, 창조, 극화. 영미연구, (), 141-172

MLA

장성현. "모방, 창조, 극화." 영미연구, (2023): 141-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