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n the placeness of smart city public spaces in the post-COVID-19 era Concentrated on Smart City Projects for Creating Innovation Spaces in Major Citie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최두호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3호 (통권 제61호), 233~24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마트시티는 도시데이터를 생산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업을 이끌어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선순환적 도시 구조로 인해 완성된다. 그리고 도시의 공공공간은 도시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로서 시민의 다양한 활동과 사회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과 역할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공간과 장소정체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와 특성을 통해 현재 주요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공공간 재구조화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의 장소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의 장소정체성으로서 유연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은 더욱 중요해졌다. 데이터 공유 및 시각화 중점의 정보성은 중요도가 감소한 반면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의미하는 통합성은 더욱 중요해졌다. 역사적으로 공공공간의 주요 특성이었던 상징성은 감소한 반면 시민들이 상호 작용하는 통합의 공간으로서의 의미는 커졌다. 스마트시티 공공공간의 가장 중요한 장소정체성은 참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 smart city is completed due to a virtuous cycle of urban structure that produces data and efficiently utilizes generated data to induce citizen participation and lead collabo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public space of a city is a basic element that composes the city and is a space where various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citizens occur. Due to the recent COVID-19, a change in perception and role of public space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consider public space and placeness, analyze public space restructuring projects in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and present the placeness of smart city public space in the post-COVID-19 era. Flexibility,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are very important for smart city public spaces in the post-COVID-19 era. Data visualization, which means data sharing and visualization, is decreasing, while Data integration, which means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morphological symbolism, which was a major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decreased and the meaning as a space for exchange increased. Finally, the most important place identity of smart city public space can be said to be citizen particip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공공공간의 장소정체성 확장
Ⅳ. 사례분석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두호. (2023).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1 (3), 233-245

MLA

최두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1.3(2023): 233-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