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연계 관점에서의 스마트하우징과 일본 스마트시티 사례 비교분석 연구

이용수 60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Smart Housing and Japanese Smart City Cases from a Spatial Connection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조용경 김재환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3호 (통권 제61호), 137~14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 도시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68%가 도시에 살게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도시문제와 저출산과 고령화 등으로 대변되는 인구구조의 변화, 기후 위기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계 각국은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주거공간에 4차산업 혁명 관련 혁신기술을 융합하여 스마트시티와 마찬가지로 인구구조 변화나 기후 위기 문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 하우징이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의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하우징은 공간적으로 연계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연계되고 있지 못하다는 가설을 검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일본의 스마트시티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공간연계 차원의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하우징 한일비교 분석 결과 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행정> 교통> 방범·방재> 환경·에너지·수자원> 문화·관광·스포츠 순으로 스마트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스마트시티에서 주거를 연계하고있지 못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일본의 대표적 스마트시티 사업인 스이타 SST와 토요타 우븐 시티를 분석한 결과, 첫째, 사적공간(주거)와 도시를 연결하고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발굴을 위해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주민)을 포함한 지역사회(커뮤니티)를 서비스 개발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둘째 사람의 생활이 연속되는 공간의 개념으로 데이터 연계 단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통합 플랫폼이 요구된다. 셋째는 사람과 그 사람의 생활의 관점에서 통합된 영역으로서 제도적 체계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urban population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is steadily increasing. It is predicted that 68% of the world's population will live in cities by 2050.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romoting smart city projects to solve problems such as urban problems arising from population concentration in cities,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represented by low birth rate and aging, and climate crisis. Meanwhile, smart housing is being promoted to respond to demographic changes and climate crisis issues, similar to smart cities, by integrating innovativ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o residential spaces. However, Korea's smart cities and smart housing are not spatially connecte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Japan's smart city case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y are not connected and to suggest alternatives.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e level of spatial connectivity, it was found that as of 2021, Korea is carrying out smart projects in the order of administration > transportation >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 environment, energy and water resources > culture, tourism and sports. In the case of Korea, it was found that smart cities are not connected to housing. As a result of analyzing Japan's representative smart city projects, Suita SST and Toyota Wovwn city, first, people living in the area (residents) were identified to connect private spaces (residences) and the city and discover services that residents can experience. Local communitie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must be actively utilized in service development. Second, with the concept of a space where people's lives are continuous, an integrated platform is required to prevent data connection disconnection. Third, an institutional system is required as an integrated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and their l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일본 스마트시티 현황 및 사례분석
Ⅳ. 공간연계 차원의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하우징 한일비교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경,김재환. (2023).공간연계 관점에서의 스마트하우징과 일본 스마트시티 사례 비교분석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1 (3), 137-149

MLA

조용경,김재환. "공간연계 관점에서의 스마트하우징과 일본 스마트시티 사례 비교분석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1.3(2023): 137-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