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이용수 26

영문명
Exploring th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or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선희 정지윤 박은혜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4호, 95~11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2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에서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한 특수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고등학교지체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진행하고 모든 면담을 전사한 후, 면담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 개의 대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족, 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 간의 협력을 중심으로 1) 가족과의 협력 및 지원, 2) 학교 차원의 지원 및 구성원 간의 협력, 3) 교육청 차원의 통합교육지원, 4) 특수학급 교사의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개선 및 전문성 강화와 같은 다차원적 지원방안이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제언하였다. 첫째, 중·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중도의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일반 학교내에서 특수교사와 보건교사, 학교 구성원들을 지원할 학교 기반 건강관리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인지적 어려움을 가진 지체장애학생이 일반교육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개별화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지원센터가 관련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주체로서 역할 의식을 가지고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지원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중·고등학교가 자유학년제와 고교학점제와 같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따라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보다 세심한 준비와 협력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ors’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o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t middle and high schools.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13 subtopics categorized under 3 main themes. Results: A multidimens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alize the inclusive education of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mphasizing collabo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school district offices, and including the following features: 1) cooperation and support of families, 2) school-level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3) inclusive education support from school district offices, and 4) strengthening awareness and expertise of special educator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clusive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irst,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school-based health support system. Second, students with cognitive and physical disabilities require various levels of individualized support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school district offices should acknowledge their role as service providers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timely information and assistance to special education educators.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new educational curricula in secondary schools calls for an increased emphasis on collaborative support syste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희,정지윤,박은혜. (2023).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6 (4), 95-115

MLA

김선희,정지윤,박은혜.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6.4(2023): 95-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