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8
-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Special School Therapist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원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4호, 139~1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2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치료사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각각 6명씩 배정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2회, 매회기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심리적 소진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비모수적 방법인 Mann- Whitney U Test로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자료 분석은 주제내용에 따라 회기별 진행과정과 단계별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학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질적 자료분석 결과,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향상과 심리적 소진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향상과심리적 소진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special school therapists.
Method: The study involved 12 special school therapis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with six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group art therapy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each lasting 90 minutes, for a total of 10 sessions. Stress coping strategy scales a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were administered both before and after the study. Data analysis included a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Additionally, we employed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Results: Firstly,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school therapists. Secondly,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special school therapists.
Conclusion: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may contribute to improvi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in special school therapists. Therefore, this is significant in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장애의 심각성, 우울, 자존감,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특수학급 교사의 생활지도효능감에 대한 개별적 변인과 사회관계적 변인의 영향 분석
- 특수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설계 및 실행 경험 탐색
- 중도중복장애 학생 평가를 위한 학습경로(Routes for Learning)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6권 제4호 목차
- 집단미술치료가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지원 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