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1
- 영문명
- Effects of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희철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4호, 75~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수집한 1차 연도 장애인 삶 패널에서 추출된 지체장애 학생 58명의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처럼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장애수용은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장애수용은 우울을 유의하게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장애수용을 향상시키는 것이 삶의 만족을 높이고, 우울을감소시키는 데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used data(2018) from 58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rom the 1st wave of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Data collected by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predicted dep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boosting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re needed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and decrease depression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 지체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장애의 심각성, 우울, 자존감,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특수학급 교사의 생활지도효능감에 대한 개별적 변인과 사회관계적 변인의 영향 분석
- 특수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설계 및 실행 경험 탐색
- 중도중복장애 학생 평가를 위한 학습경로(Routes for Learning)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6권 제4호 목차
- 집단미술치료가 특수학교 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지원 실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