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지원 실태

이용수 6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Support for Deaf-Blind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박경란 이태훈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4호, 117~1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2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시청각장애학생 현황 및 교육지원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시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 182개교, 특수교육지원센터 200개소, 시청각장애 조기교육기관 2개소에‘기관용 설문지’와 ‘담당교사용 설문지’를 발송하여 회수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결과 23개 교육기관에 32명의 시청각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시청각장애학생들은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특수학교 배치 비율이 높았다. 이들 중 상당수는 뇌병변장애, 지적장애 등 부가장애를 수반하고 있었고, 시청각장애 원인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 정도는 청각 및 시각 장애 정도가 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방법은 표현 및 수용 언어 모두 구어를 사용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나, 발성이나 체스처 등의 사용 비율도 높았다. 둘째,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지원 실태를 조사한 결과, 담당교사의 반수 정도는 의사소통, 학습매체, 보조공학 등의 교육적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고, 평가팀에 시각장애와 청각장애교사 및 관련서비스 전문가 등을 적절히 참여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에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관련 교과용 도서를 활용하는 비율이 낮았고, 점자, 보행훈련, 수어 등 특별한 교육활동 실시 비율도 낮게 나타났다. 의사소통에서도 상당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의사소통 방법으로 수어, 점자, AAC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사용 비율은 낮았다. 학생들이 사용하는 보조공학기기로는 확대경과 확대독서기가 많았고, 교사들의 상당수가 보조공학기기 전문성 부족으로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밖에 학교생활 적응과 독립성증진을 위한 환경조성에서도 지원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청각장애학생이 의사소통 장벽 등으로 교우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인다고 언급하였다. 결론 시청각장애교육 지원을 위해서는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교육적 요구 평가 및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 등의 지원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support of deaf-blind students in South Korea with the goal of improving educational support for deaf-blind students in the future. Metho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82 special schools, 200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wo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Responses from both institution-level and instructor-level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32 deaf-blind students were enrolled in 23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urrent educational status, deaf-blind students were predominantly enrolled in special schools for the deaf and blind. Many of them had additional disabilities such as cerebral palsy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causes for their impairment were not specified.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evenly distributed among those with severe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and those without. As for communication methods, most students used spoken language for both expression and reception, but the use of vocalization and gestures was also common. Secon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tatus reported by instructors, half of the instructors did not conduct educational assessments such as communication, learning media, assistive technology, etc. Moreover, instructors and experts were not properly involved in the assessment process. The rate of using textbooks designed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was low, and the rate of using special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braille, Gait training, and sign language, was also low. Many instructors report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lthough they used sign language, braille, an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devices as communication methods to a low degree. Many students used assistive technology such as ‘magnifiers’ and ‘enlarged reading devices’, but a significant number of instructors faced challenges due to a lack of expertise in using these devices.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insufficient support in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promoting independence. In addition, deaf-blind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s due to communication barrier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support for deaf-blind students, measures, such as teacher training to enhance expertise, assessment of educational needs, development of educational guidelines and curriculum, collabo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training and placement of specialized personnel, should be pursu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란,이태훈. (2023).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지원 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6 (4), 117-138

MLA

박경란,이태훈.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지원 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6.4(2023): 117-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