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 분석
이용수 64
- 영문명
-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police officer placement by region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주일엽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3號, 297~3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간의 관계,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 증감률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증감률 간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는 평균 이상은 7개 지역, 평균 이하는 10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범죄건수 증감률(%)은 평균 이상 감소는 8개 지역, 평균 이하 감소는 9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국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는 평균 이상은 7개 지역, 평균 이하 지역은 10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담당주민수 증감률(%)은 평균 이상은 9개 지역, 평균 이하는 8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간의 관계는 전국 및 지역 공히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가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와 동행(同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 증감률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증감률 간의 관계는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증감률이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 증감률과 동행(同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별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간의 관계에서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가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에 동행하는 만큼, 지역별로 경찰공무원의 적절하고 균형된 배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ropriateness of police officer placement by reg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etc.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by region was above the average in 7 regions. As for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crimes by region, 8 regions showed an above-average decrease.
Seco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nationwide was above average in 7 regions. As for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by region, 9 regions were above the averag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both nationally and reg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moved with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did not move togeth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2券 第3號 목차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을 반영한 경찰학 역량기반 교육 방안
-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 분석
- 드론테러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 및 효과적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방안
-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예방적 경찰활동과 비례원칙 법리 전개에 관한 연구
- 협력치안 구축을 통한 혼잡경비 안전관리 방안
- 헌법 측면에서 본 경비업법 개정방향
- 경찰 직무만족도와 시민 치안만족도의 상호 인과관계
- 순경채용시험의 국어과목 도입에 관한 연구
- 차별적 접촉요인과 자기통제력이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경찰조직의 지원이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
- 핀테크 산업 보안 문제점 개선을 위한 레그테크 발전 방안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의사소통 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