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조직의 지원이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9
- 영문명
- The Impact of Police Organization Support on Public Policy: Focusing on Learning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해경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3號, 47~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발생하는 범죄로 인해 국민들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국민들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경찰은 다양한 치안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경찰의 임무는 국가의 사회질서 유지와 더불어 국민의 생명과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다.
경찰이 추구하는 치안정책은 외부환경, 내부환경, 법률 및 제도 등 영향이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경찰의 치안정책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내부환경 및 경찰조직의 지원 등 연구가 다소 제한적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지원과 치안정책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경찰조직은 급변하는 치안환경에 대비하고자 경찰의 학습조직을 중요시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지원과 치안정책 그리고 학습조직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조직의 지원에 해당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자원접근성은 치안정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경찰조직의 지원과 경찰의 학습조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 역시 치안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지원 및 경찰의 학습조직은 치안정책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판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조직이 국민을 위한 치안정책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eople have a fear of crime because of constant crime in society. To promote the safety of these people, the police are presenting various security policies. The duty of the police is to protect the life, body and property of the people along with maintaining social order in the country.
The security policy pursued by the police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laws and systems. In previous studies on police security policy, the research on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support of police organizations is somewhat limited, so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organization support and security policy. Since police organizations value police learning organization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apidly changing public security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organizations' support, public order policies, and learning organizations.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police offic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recognition of support for police organizations and access to re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ublic order policy.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upport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police learning organ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also affects the public order polic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pport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the poli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public order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e organization intends to make policy suggestions on public security policies for the peop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2券 第3號 목차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을 반영한 경찰학 역량기반 교육 방안
-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 분석
- 드론테러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 및 효과적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방안
-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예방적 경찰활동과 비례원칙 법리 전개에 관한 연구
- 협력치안 구축을 통한 혼잡경비 안전관리 방안
- 헌법 측면에서 본 경비업법 개정방향
- 경찰 직무만족도와 시민 치안만족도의 상호 인과관계
- 순경채용시험의 국어과목 도입에 관한 연구
- 차별적 접촉요인과 자기통제력이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경찰조직의 지원이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
- 핀테크 산업 보안 문제점 개선을 위한 레그테크 발전 방안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의사소통 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