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치안 구축을 통한 혼잡경비 안전관리 방안
이용수 92
- 영문명
- Congestion Guard Safety Management Plan through Cooperative Public Order Establishment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이태영 성용은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3號, 185~2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시민참여 행사 등에서 발생하는 혼잡경비 상황의 안전관리 방안에 대해서 지자체, 경찰, 민간경비 세 영역의 협력치안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2005년부터~2022년까지 발생한 국내 행사장 및 축제 등의 사고발생 사례를 조사하고 각 사례에 대한 원인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자체, 경찰 조직에서 지역축제, 행사에 실제 대응하고 있는 매뉴얼 등을 바탕으로 실무자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경찰과 민간경비를 활용한 협력치안을 갖춰야 한다. 둘째, 경찰과 민간경비의 평소 혼잡경비에 대응하는 협조체계와 실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정기적인 모의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민간경비는 여러 지역행사 및 축제에 대한 미비점, 시설관리의 상태 등 경비진단을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과 확보가 필요하며, 성공적인 질서유지 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면서 시민의 신뢰를 구축할 것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to establish cooperative security among the three areas of local government, police, and private security regarding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congestion security situations that occur at large-scale citizen participation events.. To conduct this study, we investigated accidents at domestic event venues and festivals that occurred from 2005 to 2022 and analyzed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ase.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based on manuals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police organizations to respond to local festivals and ev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local governments need to take the lead and have cooperative security using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Second,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to respond to regular congestion security and regular mock training to cope with actual situations are needed. Third, private security needs to train and secure professional personnel who can diagnose security, including the shortcomings of various local events and festivals and the status of facility management, and build citizen trust by actively promoting successful cases of maintaining order. suggested tha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규모 시민 참여 행사 안전사고 사례분석
Ⅳ. 사례분석을 통한 협력치안 구축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2券 第3號 목차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을 반영한 경찰학 역량기반 교육 방안
-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 분석
- 드론테러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 및 효과적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방안
-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예방적 경찰활동과 비례원칙 법리 전개에 관한 연구
- 협력치안 구축을 통한 혼잡경비 안전관리 방안
- 헌법 측면에서 본 경비업법 개정방향
- 경찰 직무만족도와 시민 치안만족도의 상호 인과관계
- 순경채용시험의 국어과목 도입에 관한 연구
- 차별적 접촉요인과 자기통제력이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경찰조직의 지원이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
- 핀테크 산업 보안 문제점 개선을 위한 레그테크 발전 방안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의사소통 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