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4
- 영문명
- The Study of Elderly Living Arrangement on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 Focusing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박주애 조영일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3號, 69~9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들의 범죄피해 경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노인들의 범죄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노인의 주거형태(독거여부)와 범죄피해 경험의 관계에서 사회관계적 요인인 차별과 정신건강적 요인인 우울이 가지는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범죄피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차별을 매개하여 범죄피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우울을 매개하여 범죄피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차별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범죄피해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차별과 우울의 간접효과 크기를 비교해본 결과, 정신건강적 요인인 우울보다는 사회관계적 측면인 차별이 가지는 매개효과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거주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노인의 독거여부는 사회관계적 요소인 차별이나 정신건강적 요소인 우울을 매개하여서만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1) 공생일자리 제공 및 멘토-멘티제 도입,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2) 노인 또래 커뮤니티 형성 및 지역사회 복지 프로그램, 범죄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3) 범죄예방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of crime victimization among the elderly in the context of an aging society and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to reduce crime victimization among the elderly. Utilizing the “2020 Elderly Survey”,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social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living arrangements (living alone or not) and their experiences of crime victimization.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Frist,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statistically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crime victimization. Second, However,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through discrimination on crime victimization. Third, living arrangements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through depression on crime victimization. Fourth, Living arrangements sequentially mediated through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rime victimization. Fifth, When comparing the indirect effects of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a social factor, was more influential than that of depression, a mental health fa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elderly's living arrangements did not directly impact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s. Instead, it was revealed that living arrangements influenced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s through mediating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1) Introducing job opportunities and mentor programs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lder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2) Establishing peer-based elderly communities and local community welfare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3)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to decrease crime victim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2券 第3號 목차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을 반영한 경찰학 역량기반 교육 방안
-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 분석
- 드론테러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 및 효과적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방안
-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예방적 경찰활동과 비례원칙 법리 전개에 관한 연구
- 협력치안 구축을 통한 혼잡경비 안전관리 방안
- 헌법 측면에서 본 경비업법 개정방향
- 경찰 직무만족도와 시민 치안만족도의 상호 인과관계
- 순경채용시험의 국어과목 도입에 관한 연구
- 차별적 접촉요인과 자기통제력이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경찰조직의 지원이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
- 핀테크 산업 보안 문제점 개선을 위한 레그테크 발전 방안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의사소통 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