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2

영문명
The Study of Elderly Living Arrangement on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 Focusing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발행기관
한국민간경비학회
저자명
박주애 조영일
간행물 정보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3號, 69~9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들의 범죄피해 경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노인들의 범죄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노인의 주거형태(독거여부)와 범죄피해 경험의 관계에서 사회관계적 요인인 차별과 정신건강적 요인인 우울이 가지는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범죄피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차별을 매개하여 범죄피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우울을 매개하여 범죄피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의 독거여부는 차별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범죄피해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차별과 우울의 간접효과 크기를 비교해본 결과, 정신건강적 요인인 우울보다는 사회관계적 측면인 차별이 가지는 매개효과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거주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노인의 독거여부는 사회관계적 요소인 차별이나 정신건강적 요소인 우울을 매개하여서만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1) 공생일자리 제공 및 멘토-멘티제 도입,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2) 노인 또래 커뮤니티 형성 및 지역사회 복지 프로그램, 범죄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3) 범죄예방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of crime victimization among the elderly in the context of an aging society and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to reduce crime victimization among the elderly. Utilizing the “2020 Elderly Survey”,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social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living arrangements (living alone or not) and their experiences of crime victimization.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Frist,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statistically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crime victimization. Second, However,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through discrimination on crime victimization. Third, living arrangements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through depression on crime victimization. Fourth, Living arrangements sequentially mediated through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rime victimization. Fifth, When comparing the indirect effects of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a social factor, was more influential than that of depression, a mental health fa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elderly's living arrangements did not directly impact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s. Instead, it was revealed that living arrangements influenced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s through mediating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1) Introducing job opportunities and mentor programs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lder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2) Establishing peer-based elderly communities and local community welfare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3)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to decrease crime victim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애,조영일. (2023).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2 (3), 69-96

MLA

박주애,조영일.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2.3(2023): 69-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