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Job Training for Marine Police Officers and Improvement Measure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임창호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3號, 243~2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효과성 평가모델에 기초하여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함으로써 해양경찰관 교육훈련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효과성 평가모델의 네 가지 수준을 살펴보고, Kirkpatrick 평가모델을 토대로 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해양경찰관 856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학습효과 및 전이효과가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해양경찰 교육훈련 담당부서는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양경찰의 대내ㆍ외 니즈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과목의 특성에 맞는 교육방법을 실시하고, 학습효과를 향상시켜서 전이효과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rine police officers’ job training based on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of training effectivenes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rine police officer training by making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ur levels of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of training effectiveness were examined, prior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the data from 856 police offic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for marine police officers were the training curriculum, training method, learning effect, and learning transf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the department in charge of marine police training needs to develop the training curriculum that meets the internal and external needs of coast guard, implement the training method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ing subject, and as a result, facilitate learning effect and learning transfer mo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정책적 제언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2券 第3號 목차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을 반영한 경찰학 역량기반 교육 방안
-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 분석
- 드론테러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 및 효과적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방안
- 해양경찰관 직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예방적 경찰활동과 비례원칙 법리 전개에 관한 연구
- 협력치안 구축을 통한 혼잡경비 안전관리 방안
- 헌법 측면에서 본 경비업법 개정방향
- 경찰 직무만족도와 시민 치안만족도의 상호 인과관계
- 순경채용시험의 국어과목 도입에 관한 연구
- 차별적 접촉요인과 자기통제력이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형태가 범죄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경찰조직의 지원이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
- 핀테크 산업 보안 문제점 개선을 위한 레그테크 발전 방안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의사소통 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