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주거환경이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0

영문명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on Aging in Place: Focusing on Comparison of Region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고은아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3권 5호, 801~8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주거환경이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은 도시, 농촌의 지역특성별 환경적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지역별 주거환경이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실현할 수 있는 여건인지를 진단하고자 했다. 이를 검증하고자 2020년 노인실태조사의 도시지역 노인6,541명, 농촌지역 노인 2,337명, 총 8,87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계속거주는 농촌노인이 65.3%, 도시지역 노인은 61.7%로 나타나 농촌이 도시에 비해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선택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거환경 중 주택환경 요인은 도시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지역사회환경 요인의 지역사회관계 만족도는 농촌지역이 높은 것으로확인되었다.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도시 노인은 주택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외부환경 접근성이 높을수록, 이웃과의 교류 기회가적을수록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촌지역은 주택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활동 참여가활발할수록, 지역사회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지역사회 계속거주 활성화를 위해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It also acknowledges that the eff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on Aging in Place might vary due to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Consequently,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n empirical approach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ssessing wheth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each area supports elderly individuals in maintaining their community living.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2020 Elderly Survey, encompassing 8,878 participants, including 6,541 elderly residents from urban settings and 2,337 from rural areas. Results indicated that rural seniors exhibited a stronger preference for Aging in Place, with 65.3% compared to 61.7% among urban counterparts, highlighting their inclination towards remaining within their local community. Urban areas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while rural areas showed greater contentment with the social environment, particularly community relationship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urban elderly individuals were more likely to opt for Aging in Place when they reported higher housing satisfaction, better accessibi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limited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 with neighbors. In rural areas, a higher likelihood of choosing community-based living was observed when housing satisfaction,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community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greater.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advisable to develop policies aligned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rural contexts, aiming to facilitate Aging in Plac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아. (2023).노인의 주거환경이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3 (5), 801-825

MLA

고은아. "노인의 주거환경이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3.5(2023): 801-8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