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기 농촌지역 주민의 노후 준비 유형화 연구

이용수 184

영문명
Cluster Analysis of the Different Types and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age Among Middle-aged Rural Resident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보람 이정화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3권 5호, 781~79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농촌지역 주민의 노후 준비 수준을 알아보고,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노후 준비 수준에 따른 노후준비유형을 분류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북도에 거주하는 40~64세 주민 82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후준비 수준(범위:0~100점)은 사회적 영역 62.6점, 신체적 영역 73.8점, 여가 활동 영역 52.7, 경제적 영역 64.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 준비 수준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노후 준비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노후 준비유형의 비율은 1유형(전반적 취약형) 30.2%, 2유형(전반적 우수형) 22.7%, 3유형(여가 활동 취약형) 32.0%, 4유형(경제영역 취약형) 15.1%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 준비유형들간에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 연령, 교육수준, 주거형태, 직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노후 준비유형들 간에 가족 관련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 유무, 자녀 수, 생존 부모 수, 가족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 주민의 여가 활동 영역 노후 준비필요성을 강조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반적인 노후 준비 수준을 높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age of middle-aged rural residents,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preparation for old-age by degree of preparation using cluster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822 adults aged 40~64 in rural communities in the North and South Jeolla provinces. First,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age (range: 0~100 points) was 62.6 points for social aspects, 73.8 points for physical aspects, 52.7 points for leisure activities aspects, and 64.2 points for economic aspects. Seco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luster analysis, preparation was classified into 4 different types. The percentages of the 4 types were obtained as follows: 30.2% for Type 1 (overall vulnerable type), 22.7% for Type 2 (overall well-prepared type), 32.0% for Type 3 (leisure activities vulnerable type), and 15.1% for Type 4 (economically vulnerable typ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hi-square analys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preparation for old-age and variou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type of housing, and occupation. Fourth,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es of preparation for old-age and a number of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w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number of surviving parents, and family functio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to account for leisure activities in the preparation for the old-age of rural residents was emphasized. In addition, potential solutions to improv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age while reflect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iscuss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람,이정화. (2023).중년기 농촌지역 주민의 노후 준비 유형화 연구. 한국노년학, 43 (5), 781-799

MLA

이보람,이정화. "중년기 농촌지역 주민의 노후 준비 유형화 연구." 한국노년학, 43.5(2023): 781-7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