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년에 의한 은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

영문명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Mandatory Retirement Age System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현옥주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3권 5호, 911~92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년 65세 도입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실정에서 정년에 의하여 은퇴한 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실증적으로분석하여 향후 정년제도의 개편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득, 자산, 교육, 고용, 주거 지표를 합산한 5개의 사회경제적지위 및 개별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정년은퇴 여부로 설정하였다. 또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1차(2006)부터 8차(2020)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은퇴를 한 임금근로자를 추출하여 932명을 대상으로 독립표본 T-test, 카이제곱 검정,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지위 기준변수인 하위층에 비하여 상위층, 중상위층, 중위층이 정년은퇴를 할 가능성이 높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승산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 구성요소를 분리해서 분석한 결과, 소득 및 자산이 많을수록, 상용직 근로자일수록 정년에 의하여 은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본 연구의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급, 직종, 업종, 혹은 혼합형의 정년제도가 요구된다. 둘째,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정년을 단계적으로보장하는 노력이 권고된다. 마지막으로, 조기은퇴를 예방하기 위한 상병 제도나 가족돌봄제도의 도입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pecific social classes affected by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system while the retirement age extension policy is actively being discussed. The analytical model wa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model analyzed socioeconomic status, which is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income, asset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al status, and housing type. The second model analyzed the impact of each socioeconomic status component on whether individuals are retired by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or no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using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specifically from the 1st(2006) to 8th(2020) survey and using an independent T-test,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retire under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system than thos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Secondly, as a result of isolating the socioeconomic status component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income, greater assets, and more consistent work schedules have a greater likelihood of retiring under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system.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system be based on industry or occupation. Secondly, it is recommended to gradually implement efforts aimed at ensuring a guaranteed retirement age system for non-standard workers. Finally,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sickness benefits or a family care system in order to deter early retirement.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옥주. (2023).사회경제적 지위가 정년에 의한 은퇴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3 (5), 911-928

MLA

현옥주.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년에 의한 은퇴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3.5(2023): 911-9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