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용수 339

영문명
Trends and Challe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Finance and Economics Research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김민희 윤홍주 이호준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제32권 제3호, 21~5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난 30여년간의 교육재정경제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재정경제 연구 분야가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재정경제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교육재정경제연구’의 창간호부터 최근호까지 총 712편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재정경제 분야의 연구는 1)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연구 증가 2) 교육경제 분야 연구 증가 3) 교육부, 교육청, 학교, 대학, 지자체 등으로 연구대상의 다변화 4) 문헌자료에서 정량자료(행정데이터, 설문자료)로 분석자료의 변화 5) 문헌연구 중심의 연구에서 양적연구 중심의 연구로 전환 6) 연구자 간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 증가 등과 같은 특징을 도출하였다. 교육행정학 분야의 연구동향과 비교한 결과, 교육재정경제 연구는 질적 연구의 활용도가 낮고 교육부 정책에 관한 실증연구가 상당한 것을 확인하였다. 2002년 이후 주제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1) 교육재정과 교육경제의 키워드가 균형 있게 다루어졌고, 2) 효율성, 형평성, 공평성과 같은 가치 준거에 관한 연구와 학교회계, 학교재정, 학교규모 등 학교 단위의 연구와 3) 아울러 DEA, PSM, FE, HLM 등과 같이 정교화된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해외 교육재정경제 연구 동향과 비교하면서 향후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과제를 살펴본 결과, 교육투자의 효과성, 특수한 교육재정 수요 분석, 교육재정의 적정성에 관한 논의, 목적사업의 재정 소요 추정, 교육의 수익 분석, 교육정책평가분석 강화, 교원 노동시장에 관한 연구 확대 등과 같은 연구주제에 대한 학회의 관심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rends in education finance and economics research and discusses the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By examining 712 academic papers from the inaugural to the most recent issues of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it derives research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this field. The analysis reveals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to practical approachs, a surge in education economics research, diversified research targets including education authorities and institutions, a shift towards quantitative data utilization, a rapid transition from literature-focused to quantitative-oriented research, and enhanced collaboration among researchers. Comparatively, qualitative studies are underutilized in the area of research, emphasizing empirical studies relevant to education policies. The study's keyword analysis demonstrates balanced treatment of education finance and economics-related terms and substantial research on value considerations like efficiency, equity, and fairness. Advanced research methods lik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Fixed Effects (FE),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re widely adop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 trends, it highlights research areas requiring increased focus,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vestments, specific education fiscal demand analysis, discuss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fiscal policies, cost estimation of targeted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s cost-benefit analysis, strengthene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and expanded research on the teacher labor market. Enhanced scholarly interest and investigation are recommended for these themes in education fiscal econom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연구동향 분석 결과
Ⅴ.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성과와 한계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희,윤홍주,이호준. (2023).교육재정경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32 (3), 21-52

MLA

김민희,윤홍주,이호준.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32.3(2023): 2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