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교육 도입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양면적 견해: 포토보이스 분석
이용수 155
- 영문명
-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mbivalent views on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hotovoic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3호,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교육 도입에 대하여 초등 예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양면적 견해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9명의 연구 참여자가 4장씩 선정하여 맥락화
한 총 116장의 사진과 서술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도입에 대한 찬성 견해는 1) 이미 디지털 환경에 익
숙한 학생들, 2)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학교교육의 책무, 3) 기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 4)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서 잠재력, 5) 개별화 맞춤형 수업과 피드백, 6) 디지털 학
습 환경과 연계한 학습 흥미 유발, 7) 교사의 수업 지원과 보조 등과 같은 7개 주제로 도출하
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도입에 대한 반대 견해는 1) 전인발달을 꾀하는 초등
학생 발달 단계에 부적합, 2) 예측할 수 없는 위험과 부작용, 3) 과정을 건너뛰는 학습의 한계,
4) 직접 체험하는 교육의 가치 제한, 5) 가치 판단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이 선행되어야, 6) 사
람과의 관계, 의사소통, 공감, 공동체 정신의 상실, 7) 교사의 전문적 도움을 대체할 수 없음,
8) 의존하는 습관으로 인한 사고력 저하 등과 같은 8개 주제로 도출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찬성 견해와 반대 견해를 학생, 교사, 교수·학습, 사회의 관
점에서 해석하여 인공지능 교육 도입에 대한 양면적 견해를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mbivalent views hel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photovoi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6 photographs and accompanying descriptions, which were carefully
selected and contextualized by four of the 29 research participan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pportive view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I education were derived from seven
themes: 1) The familiarity of students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2) The responsibility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o prepare students for future society, 3) Opportun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aching methods, 4) The potential of AI as an effective learning tool, 5)
The potential for customization of classes and feedback, 6) The potential of AI to spark interest in
learning by integrating with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and 7) The role of AI in providing
teaching support and assistance to teachers.
Second, opposing views on the introduction of AI education we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eight themes: 1) Concerns about AI's appropriateness for the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Unpredictable risks and potential side effects, 3) AI’s limitations in fostering a
complete learning process, 4) Limitations of the value of direct experience, 5)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eaching value judgment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prior to AI integration, 6) Fears
of losing human relationships,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and community spirit, 7) Belief that
AI cannot replace professional expertise and assistance provided by teachers, and 8) Reduced
thinking skills due to dependency on AI.
Third, the study delved into the ambivalent views surrounding the introduction of AI education
by interpreting the pros and cons perceiv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se
ambivalent perspectives were analyzed from the standpoint of their implications for students,
teacher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society at lar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3호 표지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개발 방향 -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실과 의생활 분야의 교과서 개발 전략
- 바느질 교육의 의의(意義)에 대한 고찰
- 초등학생을 위한 전통생활문화중심 향토문화유산 수업 자료 개발
- 의복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연구
- 발명철학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고찰
- 디자인 씽킹 기반 교과 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융합 마인드 셋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교육 도입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양면적 견해: 포토보이스 분석
- 그린인테리어 원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식물친숙도와 미의식에 미치는 효과
- 2022 실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정보 영역의 내용 구성과 교과서 개발 전략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3호 목차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3호 판권
- 예비교사 및 교사들의 2022 개정 실과 내 농업영역 성취기준에 관한 관심도, 이해도 및 중요도 조사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