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Utiliz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홍순상 이덕호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8권 제1호, 149~1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고, 특히 학교수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6차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수학 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성취도의 지표인 수능 수리영역 표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수학성취도 사이의 양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empirically. We us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method to minimize selection bias and estimat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the mathematics standard score of Scholastic Ability Test with the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6th stage data.
The result indica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grouping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s positive and Policy efforts is needed to operate ability grouping eff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탐색 및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와 모형의 설정
Ⅳ. 실증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교과서 및 익힘책의 문제 만들기 활동 및 수행 분석
-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이야기 쓰기 활동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지도 내용 검토
-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