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이용수 5
- 영문명
- Comparison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Awareness for the God Math Clas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김창일 유기종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8권 제1호, 83~1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하여 수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인식 차이로 발생하는 수업의 갈등 해소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들을 학년·과정별, 등급별, 성차별로 분류하여 그들 사이의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학생들은 집단 분류에 관계없이 그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을 파악하여 수정해주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인문사회과정 학생, 중위권 학생, 여학생들은 그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및 수업 중 다룬 내용을 평가하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하위권 학생들은 그들의 사고과정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등급 학생들보다 높았다. 이로부터 인문사회과정 학생, 등급이 하위권인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이 향상되고 수학 수업이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는 수업분위기에서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ould suggest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good mathematics teaching in high school and offer the resolutions for the conflicts caused by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 clas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comparative implications. To this end, Students are classified by their courses, grades, gender awarenesses and the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the survey results. Although the preference for the math class that fixs the misconception of students is highest, regardless of the kinds of students groups. Academic students, middle-ranked students, female students have high affinity for the class to evaluate the material covered in class and take into account their level of assessment and instruction, low-ranked student’s preference is higher for the class that has focused on understanding communicating their thinking processes than students. From this, it is suggested that academic students, low-ranked students are needed to be taught in a way that increases their confidence, interests, values and also in atmosphere that make math class a positive experi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교과서 및 익힘책의 문제 만들기 활동 및 수행 분석
-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이야기 쓰기 활동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지도 내용 검토
-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