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ctivation method of inquiry activity for students playing a leading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by applying the van Hiele’s learning process by stages in undergraduat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clas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황석윤 김익표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8권 제1호,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을 지식 구성의 주체로 만드는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 지도안과 수업 시연에서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의 정보 단계와 안내된 탐구단계에서의 교수·학습 상황을 분석한다. 이와 같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탐구학습 또는 발견학습의 활성화 가능성을 탐색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을 두 도형의 위치관계라는 개념구조 안에서 삼각형과 원의 위치관계를 출발점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 제안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법으로서 “사실1: 삼각형의 외접원은 유일하게 존재한다.”와 “사실2: 삼각형의 내접원은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두 가지 사실의 도입과 증명을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새로운 지도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t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stud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hould take a proactive role in school mathematics. Inquiry or discovery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is the specific method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ssons on their own initiative, which is supported by many scholar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f Inquiry or discovery learning by intensively analyzing information and guided orientation in teaching practice. From this, we find the direc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arrying out pre-service teachers’ role to help students to take a proactive role in school mathematic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의 고찰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교과서 및 익힘책의 문제 만들기 활동 및 수행 분석
-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이야기 쓰기 활동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지도 내용 검토
-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