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이용수 11
- 영문명
-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兆銘’s Learning Process, Using Technology in a University Class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고상숙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8권 제1호, 6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권 학생인 중국인 국제학생 자오밍의 대학 수학수업에서 학습의 방해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방해요소를 극복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정성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해 2014년 2학기에 개설된 교수·학습을 위한 강좌에서 학습조력자에 의해 자오밍의 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습과정의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방해요소로는 한국어문장이해력 부족, 한국어수학어휘력 부족, 수학개념이해력 부족, 공학도구충실도의 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중언어 효과, 자기주도적 시각화표상활동, 반복활동, 조별활동을 통해 학습의 성취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오밍의 학습의 성취는 학습조력자의 역할에 의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영어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자국어로 학습할 수 있는 이중언어강화 환경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ing process of Chines international student within a technology environment, who was studying in Korea to be well equipped as a math teacher in future. Her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guided in a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in one university, Kyunggido,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4. She experienced obstacles such as the lacks of comprehending Korean sentences, Korean math terminologies, mathematical concepts, and fidelities of technology in her learning. She was recovered by bilingual effect, visualization activities, repetition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There was a learning helper who made her learning possible in a bilingual way. Thus, the bilingual education is crucial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교과서 및 익힘책의 문제 만들기 활동 및 수행 분석
-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이야기 쓰기 활동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지도 내용 검토
-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