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전통 토목기술의 현대 공학적 해석

이용수 158

영문명
A Modern Engineering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en walls, embankments, site formatio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손수원 이성준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제78집, 197~23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성벽, 제방, 대지 등 발굴된 주요 유적의 고고학적 축조 가설을 토목공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고고학적 관점에서 제시된 유적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지반조사, 토질시험, 모형시험 등을 실시하였고, 컴퓨터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유적의 축조 시나리오를 검증하였다. 서울 풍납토성의 동성벽이 증축과정을 거치면서 규모가 확대되었다는 고고층서학적 조사성과가 공학적으로 개연성이 있으며, 함안 가야리유적의 성벽 상부에서 확인된 목책이 방어 설비였다는 관점도 의미 있게 고려해 볼 요소이다. 김제 벽골제의 중심거 하부에서 확인된 할석층은 수문 아래의 지반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면안정해석과 물의 침투해석으로는 함안 가야리 제방과 울산 약사동 제방의 원형을 도출하였다. 함안 성산산성에서 목간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부엽층은 성벽 완공 후 내부의 지표 수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배수재의 기능을 했을 것이며, 공주 공산성 성토대지의 조성방법은 비탈면에 의한 붕괴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유적의 축조 가설을 공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고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발굴조사의 계획수립 단계부터 공학 분야의 전문가들 참여하여 유적 해석의 연구모델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cases in which the archaeological construction hypotheses of excavated sites, such as earthen walls, embankments, and site formations, were analyzed using civil engineering methods. In order to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presented from the archaeological point of view, ground investigations, soil tests, and model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construction scenarios of the sites were verified using computer modeling techniques. The result of a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that the size of the east wall of Pungnaptoseong in Seoul was enlarged through the process of extension is engineering probable, and the point of view that the wooden fence confi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wall in the Haman Gayari site was a defensive device is also a factor to be considered meaningfully. The stone layer confi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girder of Gimje Byeokgolje can reduce the heaving of the ground under the water gate, and the prototypes of the Haman Gayari embankment and the Ulsan Yaksa-dong embankment were derived from the slope stability rate and water infiltration analysis. Sedimentary layer of plant organisms, from which wooden tablets were intensively excavated from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must have functioned as a drainage material to keep the water level inside the surface below a certain level after the fortress wall was complet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site formation at Gongsanseong Fortress is an engineering way to prevent collapse due to slope and safely construct it. In order to analyze the construction hypothesis of such sites engineeringly, i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rchaeological data. Efforts are needed to build a research model for the analysis of the remains by participating in the engineering field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유형별 유적의 고고학적 축조 가설과 공학적 해석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수원,이성준. (2023).한반도 전통 토목기술의 현대 공학적 해석. 백제연구, (), 197-233

MLA

손수원,이성준. "한반도 전통 토목기술의 현대 공학적 해석." 백제연구, (2023): 197-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