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한성기 제의 건축 시론

이용수 308

영문명
Tentative considerations on Early Backje’s ceremonial architecture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박순발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제78집, 99~12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와당의 계통 및 기원 등을 중심으로 백제 한성기의 건축문화와 주변문화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그 내용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성백제 와당의 계통은 결코 육조(六朝)지역과 직결될 수는 없다. 지금까지 육조 기원을 가정하여 부르곤 하였던 ‘전문(錢紋)’이라는 모티프 명칭은 그 전제적 근거가 부족하다. 한성기의 “비연화문계” 와당은 대체로 4세기 4/4분기 혹은 말 무렵에 먼저 동한(東漢) 시기 성문와당(星紋瓦當)에서 유래하였고, 그 기원지는 삼연(三燕)지역이다. 연화문은 불교의 전파와 함께 서역을 거쳐 중국 내지로 확산되는데, 현재 북위 평성(平城)시기가 가장 이르다. 연판(蓮瓣)의 끝이 뾰족하고 잎의 한 가운데 엽맥(葉脈)을 배치한 엽맥문식(葉脈紋式) 혹은 엽륵식(葉勒式) 연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연화는 인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백제의 연화문 와당은 북위 평성 시기 연화문 와당에서 유래하였다. 풍납토성 주초식(柱礎式) 전랑후실(前廊後室) 건축물의 기원은 인도 불교 신전 건축물에서 찾을 수 있다. 인도 굽타(Gupta : 319~550년) 시기의 산치(Sanchi) 17번 신전(Temple No 17), 그리고 북위 평성(平城) 시기의 운강(雲岡)석굴 9、10、12굴(484~489년 조성) 등의 유례가 있다. 백제 한성시기에 전랑후실 건축양식 출현 배경은 삼연、 북위 등 정치체 사이의 빈번한 정치적、군사적 갈등에서 비롯된 정치적 망명이나 난민 이동과 밀접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radition of using roof tiles in Early Baekje did not originate in southern China, as is commonly believed. In fact, the roof tiles used in Early Baekje were not of the “coinmold motif” design, as is also commonly believed. The author suggests that they should be called “non lotus motif” roof tiles instead. Early Baekje non lotus motif roof tiles originated from the asteristic motif roof tiles of the Eastern Han period, which were popular in the Three Yan region during the fourth quarter of the fourth century AD. Another type of Early Baekje roof tile is the “lotus motif” tile. The design of this tile originated from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to China from the Western Regions. The earliest example of a lotus motif roof tile in China was found in the first capital of the Northern Wei dynasty, Pingcheng. Early Baekje lotus motif roof tiles simply adopted the Northern Wei style, which is characterized by a central demarcation line between the lotus petals, known as the “leaf bone style”. Later in the Early Baekje period, a new type of architecture appeared, consisting of a front corridor and a back room, supported by underground stone based columns. This type of architectur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in the Indian Buddhist temple of Sanchi, No. 17, from the Gupta dynasty (319-550 AD). It is believed that this architectural style spread to Baekje via the Northern Wei dynasty's Yungang grottoes, and that it was brought by refugees fleeing political and military conflict.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성기 백제 와당의 기원과 계통
Ⅲ. 풍납토성 백제 제의 건물의 구조
Ⅳ. 한성기 백제와 북조(北朝)의 교섭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발. (2023).백제 한성기 제의 건축 시론. 백제연구, (), 99-126

MLA

박순발. "백제 한성기 제의 건축 시론." 백제연구, (2023): 99-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