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극의 대중적 공연콘텐츠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about possibility of 'Chang-geuk(traditional opera)' to be popular performance contents: Focung o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곽병창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8집, 154~204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창극이 대중적 공연 콘텐츠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가늠해보기 위한시도이다. 그를 위해서 <전주마당창극>의 연극적 지향점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전주마당창극>의 연극적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주마당창극>은 극장 중심의 기존 창극들이 간과한 관객과의 왕성한소통을 추구한다. 극장 중심 창극은 여러 갈래의 실험을 거듭하면서 발전해왔지만 판소리의 원형이 지닌 왕성한 소통 능력과 개방적인 연희로서의 아름다움을드러내는 데 소홀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관객과의 소통과 참여를 이끌어내기위해서 선택한 대안적 형식이 곧 '마당창극'이라는 개념이다. 둘째, <전주마당창극>은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한 창극 관객층을 염두에 두고이들이 선호하는 대중적 공연콘텐츠를 지향한다. 그 전제는 다음과 같다. 1)관객들은 대체로 익숙한 판소리를 바탕으로 하고 지역적 특색을 잘 살린 공연콘텐츠를 선호한다. 2) 하지만 판소리 원전을 그대로 창극화한 전통적 창극보다는현실적인 소재와 주제를 담아 재창조한 작품을 더 선호한다. 3) 한옥이라는공간적 특성을 잘 살린 야외공연에 대한 기대가 크다. 4) 작품 안에서 ‘눈 대목’사설에 대한 전이해가 높은 경우에는 매우 열렬한 반응을 보이지만 어렵고낯선 사설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지루해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전주마당창극>은 판소리 고유의 골계와 비애미를 두루 되살리고자한다. 공연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마당에서의 창극은 골계와 난장적 분위기를조성하는 데에 탁월한 기능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판소리 고유의 ‘범인(凡人)적비애미’를 드러내고 공유하는 데에도 극장 무대에서의 창극에 비해 오히려 더유리하다. 위의 지향점을 충족하기 위해서 <전주마당창극>이 도입한 형식적 특징은아래와 같다. 1) 현실적인 주제와 소재를 도입하여 동시대 관객들의 기호와 눈높이에 부합하고 소통과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극 구조를 추구 한다. 2) 배우 중심 창극을 지향하여 둘 이상의 다양한 각편을 제시하면서, 어려운한문투와 고어체 사설을 현대적으로 풀어 쓴다. 3) 객석을 활용한 등퇴장과 벽 깨기를 통해서,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시도한다. 4) 돌출무대와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관객의 몰입도와 친근감, 그리고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전주마당창극>은 아직 일천한 공연 기록을 지닌 초창기의 면모를 벗어나지못 했다. 하지만 지난 3 년 동안 발표한 세 편의 작품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대중적 공연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실험이창극사에 새로운 형식적 제안을 내놓을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창극의정형을 창조하려는 목표의식을 확고히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극장식 창극을단순히 마당으로 불러내는 차원의 공연에 안주하려는 마음을 버려야 한다. 그런점에서 마당극과 창극의 장점을 고루 계승해서 새로운 창극을 만들어내려는인식을 확고히 해야 한다. 그를 바탕으로 창극과 마당극의 미학적 지향점과공연원리를 더욱 치밀하게 분석하고 융합해서 명실상부한 새 창극 장르의 창출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trial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hang-geuk to be popular performance contents. And for it, check the dramatic purpose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 The dramatic purpose of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pursues vivid communication with spectator who's role have been thinned in former ‘therter-centric’ Chang-geuk. Though ‘Thearter-centric’ Chang-geuk has developed in various way of experiments, they are negligent to reveal vivid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beauty of ‘Pansori’. In that meaning, is alternative concept of Chang-geuk to lead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ith spectator. Second, pursues popular performance contents, and that is preference of new spectator group. The premise of it is like this. 1) New spectator group prefer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familiar story of Pansori and well-figured locality. 2) But they prefer re-created works including materials of everyday life and realistic theme rather than traditional Chang-geuk that dramatized original Pansori itself. 3) They largely expect open-air performance that have well-figured the speciality of ‘Han-Ok’ space. 4) If they have pre-perception about ‘high light text’ of Pansori, they show so enthusiastic reflects, but if they have not, they feel so bored at same scene. Third, try to resurrect both comic and tragic beauty in original Pansori. Through real performance we can certify that Madang(open-air) Chang-geuk has more outstanding function in revealing comic beauty and people’s collective tragic beauty rather than Chang-geuk in proscenium theater. Next summary is the formal characteristic of . 1) Positively including materials of everyday life and realistic theme that adjust to contemporary spectator and pursuing dramatic structure to accep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spectator. 2) Presentation of various version as ‘actor-centric Chang-geuk. 3) Appearance and exit of actor through spectator seats and breaking ‘fourth-wall’ 4) Using thrust stage and animation movies. This devices increase concentration,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competency of spectator. is still at experimental form. But through 3 works performed in last three years, it reveals possibility as new popular performance content. However, this experiment in order to be a new alternative genre of Chang-geuk, we must have obvious target consciousness to create new form of Chang-geuk. And for it, we have to scrutinize the strong points of Madang-Geuk and Chang-geuk. At the same time, we try to analize aesthetic directions and performance theories of each form. Based on it, we should plan to create innovative genre of Chang-geuk.

목차

1. 들어가며
2. <전주마당창극>의 연극적 지향점
3. <전주마당창극>의 특징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병창. (2014).창극의 대중적 공연콘텐츠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판소리연구, (), 154-204

MLA

곽병창. "창극의 대중적 공연콘텐츠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판소리연구, (2014): 154-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