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 창극단 공연 ‘창극 대본’의 현황과 특징

이용수 4

영문명
The Current Existence and Feature of the Changguk Performance Scripts of the National Changguk Company of Kore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기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8집, 5~65쪽, 전체 6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10,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현전하는 완판 <춘향전>의 여러 이본들을 모두 모아 그 서지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완판 춘향전의 변모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는데에 목적이 있다. 완판 <춘향전>은 작품 권수제에 따라 ‘별춘향전’과 ‘열녀춘향수절가’가 있으며, 장수에 따라서는 완판 26장본, 29장본, 33장본, 84장본 등이 존재한다. 별춘향전 가운데 인기 있던 판본은 완판 29장본으로, 이판본이 4종 존재하고 1914년 무렵까지 서점에서 유통되었다. 열녀춘향수절가 가운데 인기 있던 판본은 완판84장본으로, 이판본이 3종 존재하고 적어도 1908년부터 판각되기 시작하여 20세기 초반 여러 서포에서 유통되었으며, 1949년 마지막으로 간행되기도 하였다. 완판 26장본과 29장본은 현전 판본에 면당 행수가 일정하지 않은 복합 판식이 나타나는 것으로 봐서, 장수가 보다 많은 선행 판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생산 단가를 절약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 선행 판본의 장수를 줄이는 보각과 보판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방각본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다. 완판 33장본은 별춘향전 단계에서 열녀춘향수절가 단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나타난 판본으로, 별춘향전 29장본의 행문을 상당 부분 수용하는 동시에, 사랑가대목, 남원 기생 위로 대목, 황릉묘 몽유 등을 새롭게 첨가하여 만들어졌다. 선행판본에서 수용한 내용과 새롭게 첨가된 내용이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도 했지만, 춘향의 이미지를 이상화하려는 의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완판 84장본은 완판 33장본의 쌍급주 사설, 옥중 자탄 대목의 일부, 황릉묘몽유, 과거 급제 대목 등의 행문(전체의 10%)만을 그대로 수용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내용을 새로운 화소와 표현으로 구성하여 만들어진 판본이다. 완판 33장본에서 시도했던 춘향의 이상화를 보다 전면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이는 내용면에서 이미 동일한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던 완판 33장본의 지평 위에서 작품을 개작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출판 환경 면에서는 세책본이 존재하지 않아 방각본이 독점적으로 시장을 장악할 수 있었던 지역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작품의 분량(장수)에 제한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개작이 가능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xamining the current existence of performancescripts of the National Changguk Company of Korea and inquiring into themeaningful activity of it. It is important that scripts contain not only lines ofactors, but also the composition of music, motions of actors, and the roles ofcharacters. Also, it sometimes includes the significant reason that it can be playedon the stage and some other meaningful informations about the performance. When the author rewrites the five pansori episodes to changguk scripts, he(orshe) has both autonomy and restriction because it basically has original scripts. He(or she) maintains deoneum or nun-daemok of pansori as much as possibleand tries to adapt it for changguk scripts. The author sometimes puts some partsof music components or songs from other style of pansori as necessary sincehe(or she) writes down the scripts by focusing on the music part that has outstandingmusicality or develops a dramatic scene. We can find that the author acceptsthe new part of music from the previous short play or changguk performances. It depends only on the author. The committee for establishing gukguk[國劇定立委員會] launched in 1968seemed an extension institute of the committee for establishing original text[原典定立委員會]. The purpose of the committee for establishing gukgeuk was buildingup the basic form and tradition of gukguk, and for it, establishing style and scriptsof gukguk which should be requested. Since the committee for establishing gukgukfocused on making ‘canon’, diversity of version of pansori was not considered. When we look on the canon of script that the committee for establishing gukgukmade, there are some features: First, it was based on the version of Shin Jae-hyo. Second, it was textured by deoneum or nun-daemok of pansori. Lastly, witticismpart of pansori was not accepted. For Lee Jin-sun, who belonged to the committee for establishing gukgeuk,changguk was able to be established by accepting the different kinds of dramatictechniques from other traditional performances. For example, he specially paidattention to tal-chum[Korean mask dance], and applied the walking skills of itto the play of changguk. Heo Gyu, who made wanpan changguk, tried to maximize the music part ofthe five pansori and used dochang. He thought traditional theatricals could broadenthe dramatic expression realm of changguk. Also, he concerned not thecontemporary issue but the nature of human being like identity, emotion, andjest nature as Korean. The performance Chunhyang-jeon(1998) and Simcheong-ga(1999) as wanpanjanggeuk changguk originated in wanpan changguk of Heo Gyu. Kim Myeong-gonwas in charge, and it tried to reveal the whole possibilities of music sourcesof pansori like wanpan changguk. However, wanpan janggeuk changguk aimedat big stage, splendid stage setting, and show variety which is not requestedto wanpan changguk. From 2000, the typical feature of phenomenon was found. The actors likePark Seong-hwan and Cho Yeong-gyu started to write the scripts of changguk. For Park Seong-hwan, it was important to make changguk as an universal musicalplay. He emphasized the sophisticated composition and other elements to maximizethe visual effect. The script is one of components in performance art. It is not fixed becausemany people like art directors, actors, composers are related and make influenceon it. From the preparation to the end of stage, scripts are consistently changed,evaluated and revised. On this progress, the author primarily takes an importantrole.

목차

1. 머리말
2. 국립창극단 공연 연보와 대본 작가의 성격
3. 국극정립위원회의 구성과 지향
4. 창극의 양식화 작업을 위한 이진순의 노력과 대본의 특징
5. 허규와 김명곤이 추구한 ‘완판창극’과 ‘완판장막창극’의 지향과 특징
6. 창극단 배우 박성환의 대본 작업
7.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형. (2014).국립 창극단 공연 ‘창극 대본’의 현황과 특징. 판소리연구, (), 5-65

MLA

김기형. "국립 창극단 공연 ‘창극 대본’의 현황과 특징." 판소리연구, (2014): 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