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이용수 13

영문명
A Study on the Birth and Change of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최동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8집, 339~385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판소리 공연 방식의 하나로 자리잡은 완창은 판소리사의 초기부터 있었던 공연 방식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판소리의 서사적구조, 당시의 공연 관습이나 장소 등을 통해서 짐작할 수 있다. 근대적인 판소리 공연은 서양식 무대에서 시작된 이른바 ‘협률사’ 공연이었다. 처음에 이 공연 방식은 장안사나 광무대와 같은 극장 무대에 여러 명의남녀 소리꾼이 동시에 출연하여 일부분씩 부르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명창대회’라는 것이 등장한다. 명창대회의 장소는 극장인데 한꺼번에 여러명창들이 출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명창대회는 협률사 이후 계속된극장식 공연으로 다수의 다양한 종목의 창자들이 출연하는 옴니버스 공연 형태였다. 몇몇 증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해방 후의 공연 상황은 다음과 같다. 우선공연장은 가설 무대나 극장, 혹은 창고였지만 근본적으로는 프로시니엄 무대였다는 것, 1부와 2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승무, 병창 혹은 기악, 토막 판소리,잡가, 대가의 판소리 등을 부르고, 2부에서는 단막극이나 남도잡가를 불렀다는것이다. 해방 후의 협률사식 공연은 이처럼 거의 유형화되어 있었다. 판소리창자들은 자기가 잘하는 대목을 항상 부르니까 다 잘 부를 수밖에 없었지만,날마다 반복되는 공연의 청중들은 매번 달라지므로 공연 종목 또한 바꿀 필요가없었다. 그래서 판소리는 이제 토막소리밖에는 부르지 않게 되었다. 1960년대 들어 판소리는 절멸의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동진은1968년 9월 30일 판소리 완창을 창안한다. 박동진에 의해 창안된 판소리 완창은멸실 위기에 처한 판소리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완창에서 판소리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였고, 소리꾼들도 희망을 가지고너도나도 완창을 시도하였다. 이는 판소리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 판소리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발맞춰 뿌리깊은나무사에서 시도한 판소리감상회는, 완창은 아니지만 전판 공연을 함으로써 잃어버렸던 온전한 판소리작품의 복원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 후 판소리 완창은 소리꾼이라면응당 거쳐야 할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이를 대표하는 것이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발표회이다. 국림극장 완창 판소리 발표회는 1985년 3월 30일 성창순의<심청가>로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 31일까지 총 255회를 공연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판소리 완창은 얼마나 어린 나이에, 얼마나 긴시간을 부르는가를 다투는 기록 경쟁처럼 되어 버렸다. 당연히 판소리 완창의효용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창자들에게는 전판을 한 자리에서 공연할 수 있는공력을 닦게 하고, 판소리 경연대회나 판소리 공연의 양상을 바꾸어 놓았으며,수많은 명창과 명고수, 귀명창이 탄생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본래의 공연 방식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창에 집착하다보니 예술성은 망각되고 공연자의 나이와 공연 시간이 관심의 주된 대상이 되어 버렸다. 전통 판소리는 사적인 공간에서 시간 제약 없이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판소리가 한 자리에서 다 부르기에는 너무 긴 것도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공적인 공간에서 한 번에 다 부르려다보니자연히 여러 가지 문제를 노정하게 되었다. 판소리 완창은 이제 그 형식의 변화를 꾀할 때가 되었다. 소리꾼이나 고수나청중이나 편안한 가운데 판소리의 예술성을 최고도로 발휘하고 음미할 수 있는새로운 완창의 양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것은 판소리 본연의 특성을 회복하는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대 판소리는 전통 시대와는 다른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만 한다. 단속적(斷續的) 완창이 그 대안이 될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birth and change of pansori fullversion singing performance(완창).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The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of pansori was not original style of pansoriperformance. That could be easily assumed by the structure, performanceconventions and performance place of pansori. Major pansori performances fromformative period to the end 19th century were partial pansori singing performance(부분창). And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was secondary. The modern pansori performance started on the western style theater calledHyeomryulsa(협률사) in 1902. The partial pansori singing was performed onthat stage. The western style performance could not accept the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The full version of pansori. is too long to perform at onceon one stage. S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lmost of all pansoriperformance was partial singing performance, which was performed in westernstyle theater with other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We can call it an omnibusperformance. Around 1960's, pansori. was at the brink of death. Because the audience ofpansori were continually decreasing on the one hand, and the singer who cansing a full version pansori became sparse on the other hand. In 1968, Bak Dong-jintried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It won a great success. It broughtabout a sensational attention. After that performance many full version pansorisinging performance were designed like as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Pansori Concert,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 Full VersionConcert, etc.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 Pansori Concert contributedto reestablish the full version pansori.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Full Version Concert started in 1984. It has won the most authoritative full versionpansori concert for 30 years. In the middle of 1990's,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changed. The age of the singers became younger and younger. At last, the elementaryschoolchildren comprised the most part of that performance. So, many peopleclaim that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should be changed. In this study I suggested a serial singing performance as an alternative. Itwould be the true to the nature of pansori and make pansori performance moreartistic.

목차

1. 머리말
2. 부분창의 시대
3. 완창의 탄생
4. 완창의 변화
5. 판소리 완창의 성과와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현. (2014).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판소리연구, (), 339-385

MLA

최동현. "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판소리연구, (2014): 339-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