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연행문법과 민족문화학적 의의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The performative grammar of Pansori and it’s ethnoculturological meaning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현주 서유석 채수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7집, 107~1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 연행의 어떤 문법을 찾기 위해서는 연행의 현상적인 지표들을 체계화된 시각으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전통 악보 표기법인 정간보를 변형 활용하여 거기에 구술 연행의 핵심 구성요소인 언술과 음악, 동작과 표정, 그리고 추임새 등 다양한 현장적 맥락의 결합 양상을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간보 형식의 연행 기록은 언술과 음악이 결합하는 양상, 음악과 동작이 결합하는 양상, 음악과 동작과 추임새가 결합하는 양상, 그리고 언술과 동작과 추임새가 결합하는 양상 등 전체가 상호 참조하거나 상호 관계를 맺는 양상을 조감하게 해준다. 그리고 이런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나타나게 된 배경 내지는 원인을 탐구하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그래서 창자가 공연 중이나 공연 전에 처하게 되는 상황들, 청중들이 공연과 맺는 관계들과 상황들, 공연조건이 창자와 청중과 공연 자체에 행사하는 어떤 힘들, 사회현실이 창자와 청중과 공연 자체에 행사하는 어떤 힘들을 보아내는 데도 정간보 형식의 연행 기록은 의미 있는 착지점이 된다. 정간보 형식 위에 기록된 지표들이 어떤 배경적 맥락을 함축하고 있는지에 대해 어떤 일정한 통로를 설정해보고자 한 것이 바로 이 글에서 탐색한 연행문법이었다. 이 글은 판소리 연행문법이 갖는 민족문화학적 의의에 대해서도 간단하게나마 개진해보았다. 연행문법 안에 내재된 한국인의 예술적 감성, 음악적 사유, 동작과 표정의 경향, 음악과 동작과 표정과 맞물리는 언술적 표현 방식, 창자의 극적 연출에 대한 청중들의 반응 방식 등이 정교하게 기술되고 또 그것들이 어느 정도 중첩되고 축적된다면 그것은 하나의 민족지 역할을 하게 된다. 그것은 다른 문화권과는 다른 우리 민족과 우리 문화만이 갖고 있는 개성적인 심미체계, 언술체계, 음악체계, 동작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단순히 전통적인 구술연행물의 연행체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족적이고 문화론적인 입지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We propose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perfomance score format(井間譜) gathered together verbal articulation, musical representation, singer’s kinetic representation and audience's acoustic response for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tive grammar of Pansori. The performative indices recorded on the perfomance score format of Pansori signify various contexts like as singer’s physical condition or psychic situation, audience's feedback, various given conditions to the performance and the performer, social situation and social trend. The performative grammar has ethnoculturological meaning to the extent that it is a sort of ethnography with Korean people’s artistic sensibility, musical thinking, bodily moving tendency, verbal articulative disposition corresponding with music and kinetic action, people’s way of reaction to the performative act and performer’s theatrical direction. To be brief, the search for the performative grammar of Pansori throws light on Korean people’s esthetic system.

목차

1. 서론
2. ‘언술+음악+동작+추임새’의 정간보
3. 컨텍스트의 작동방식과 연행문법의 모색
4. 연행문법의 민족문화학적 의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주,서유석,채수정. (2014).판소리 연행문법과 민족문화학적 의의 탐색. 판소리연구, (), 107-140

MLA

김현주,서유석,채수정. "판소리 연행문법과 민족문화학적 의의 탐색." 판소리연구, (2014): 10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