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리가>와 <짝타령>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Bariga and Jjaktaryeong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성기련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7집, 141~189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바리가>는 문장가와 영웅호걸, 충신, 열녀, 미인 등을 몇 명씩 묶어 말 위에 바리를 싣는 내용의 노래로 완판 계열의 ≪춘향전≫이나 동·서편제 ≪춘향가≫에는 보이지 않고, 『남원고사』 계열의 소설 ≪춘향전≫ 및 중고제 ≪춘향가≫에만 수록되었던 노래이다. <바리가>는 현재 전승되지 않아서 노래의 특징이나 이 악곡이 속한 장르에 대해 알 수 없으나, 유사한 노랫말로 된 <짝타령>이 단가, 병창, 판소리 삽입가요 등 다양한 장르로 불린 사실로 미루어 19세기에서부터 20세기 초까지 ‘여러 유명한 인물들을 묶어서 말 위에 바리 얹는 노랫말의 노래’가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다양한 장르로 향유된 <바리가>라는 노래에 주목하여, 이 곡이 원래 어떠한 장르에 속한 곡이었으며 판소리에 삽입된 이후의 음악어법과 노랫말의 특징은 무엇인지, 또 <짝타령>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 19세기 중엽 경기·충청권에서 향유된 중고제 판소리 ≪춘향가≫와 경판 계열 ≪춘향전≫에 삽입된 <바리가>는 가사 <십태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러 인물을 묶어서 말 위에 바리 얹는 노랫말의 구조와 노래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장편화한 노래가 <바리가>임을 알 수 있었다. <바리가>는 창우집단에 속한 판소리 창자들이 판소리 ≪춘향가≫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판소리 음악어법화하여 현행 자진모리장단에 해당하는 완자장단으로 불리면서 기존 악곡의 특성을 잃게 되었으며, 4명의 인물을 ‘…로 한 짝하고, …로 짝을 지어, …로 웃짐 쳐서 …로 말 몰려라 둥덩’이라는 노랫말의 구조에 대입하는 변화를 거쳐 <짝타령>이라는 제목의 새로운 장르의 노래로 파생되었다. <바리가>는 19세기 후반기 이후에도 여러 필사본 ≪춘향전≫에 삽입되어 있지만 노랫말의 변화 없이 독서물의 일부로 전승되었고, <짝타령>은 19세기 중엽 이후 단가와 병창으로 불리면서 판소리에 다시 삽입되는 등 크게 유행하게 된다. 판소리 삽입가요 <바리가>로부터 파생된 <짝타령>이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노랫말의 구성으로 불리며 사랑받을 수 있었던 것은 고사 속 여러 인물을 ‘말 몰려라 둥덩’이라는 노랫말과 함께 매 단락 규칙적으로 맺어지는 말놀이[語戱]를 통해 지적 유희를 즐길 수 있는 독특하고 흥미로운 노랫말 구조, 그리고 이러한 노랫말의 특징을 잘 살려 단가와 병창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노래를 창조해 낸 창우집단 창자들의 음악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ariga is a song about loading famous good writers, heroes, loyal and faithful women and beautiful women bound to go on horses like luggage. This isn’t found in Chunghyangjeon in the wanpan (Jeonju edition) line or Chunhyangga in dongpyeongje and Seopyeongje, but only in Chunhyangjeon which relates to Namwongosa and Chunhyangga in junggoje. As Bariga hasn’t been passed down to present,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features and genre of the song.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Jjaktaryeong, which consists of similar lyrics to Bariga, was sung in a variety of genres including danga, byeongchang (singing with gayageum or geomungo) and pansori insert songs, it can be assumed that the songs about binding various famous characters to be loaded on horses were popular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focused on a song called Bariga and Jjaktaryeong which was enjoyed in various genres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examined what kind of genre Bariga belonged to and what its musical expressions and texts were after it was inserted into pansori, and its association with Jjaktaryeo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Bariga was inserted into Chunyangga in junggoje pansori which was enjoyed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in the mid 19th century and Chunhyangjeon in the gyeongpan line has a close association with Siptaega of Gasa genre. And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Bariga is a full-length song which maintained the lyrics with contents about the binding of various characters to be loaded. While pansori singers in the Changwoo group accepted Bariga into pansori Chunhyangga, it was influenced or modified by pansori musical expressions and sung in the wanja jangdan, which is a current jajinmori jangdan, and eventually lost the feature of Gasa song. After Bariga’s featured application of including people’s names in certain parts of lyrics in a way that goes like: ‘Load a piece of luggage with somebody (insert one’s name), pair it with another piece with somebody, add one with somebody to ride horses to somebody, deung deong,’ it has become transformed into an independent song, Jjaktaryeong, in a new genre. Bariga has been inserted into manuscriptal Chunhyangjeon since the mid 19th century but it has been passed down as a part of reading materials without editorial changes, while Jjaktaryeong became popular after the mid 19th century by being sung in the fashion of danga and byeongchang and inserted into pansori again. The elements that comprise the great popularity of Jjaktaryeong, which was derived from Bariga and is a pansori insert song, include its diverse lyrics in a wide range of genres that feature i) a unique and interesting lyrical structure in which intellectual plays were enjoyed through a word game that adopted various characters from history and used the lyrics of ‘drive the horse, deung deong’ in each paragraph and ii) the musicality of the singers of Changwoo group, which created a new genre, danga and byeongchang, that emphasized the features of the lyrics well.

목차

1. 머리말
2. 판소리 수용 이전 <바리가>의 가창방식과 선행 악곡 검토
3. 19세기 중엽 판소리 수용 이후 <바리가>의 음악어법 및 노랫말의 변화
4. 19세기 후반기 이후 다양한 장르로 전승된 <짝타령>의 노랫말 구성 비교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기련. (2014).<바리가>와 <짝타령> 연구. 판소리연구, (), 141-189

MLA

성기련. "<바리가>와 <짝타령> 연구." 판소리연구, (2014): 141-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