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이용수 10

영문명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성기련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0집, 163~1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0.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20세기 전반기 등장한 유성기음반이라는 매체를 통해 근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성기음반 산업이 전성기를 맞았던 1929년에서 1945년 사이에는 근대화의 진행으로 경제와 사회 구조가 변한 것은 물론 전통사회의 음악문화가 해체되어 판소리 연행과 관련한 사회․문화적 환경도 급격히 바뀌게 되었다. 특히 유성기음반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판소리 향유 방식은 향유층의 양적 확산 및 향유권의 지역적 확장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판소리에 대한 미의식도 다양해지게 되었다. 20세기 전반기에 유성기음반을 통해 판소리를 감상하는 향유층은 소수의 귀명창 집단과 다수의 대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판소리사에 대한 이해와 판소리에 대한 심미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19세기 명창들의 더늠을 담은 ‘명창제’와 같이 정통성 있는 소릿조를 수록한 음반을 감상하고자 했던 데에 반해, 후자의 경우는 유성기음반을 취입한 판소리 창자의 인지도 혹은 특정 대목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 음반을 구매하며 대중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이들은 곰삭은 듯한 수리성보다는 맑은 청구성의 성음을 가진 창자의 소리를 선호하여 임방울과 이화중선과 같은 창자들이 이 시기에 부상하게 되었다. 유성기음반을 다수 취입한 명창들은 새로운 미의식을 가진 청중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소수 귀명창의 미의식뿐 아니라 다수 대중들의 미의식 역시 중요하게 생각하여 이를 소리에 반영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전반기 유성기음반 산업의 발달은 1930년대 판소리 음악문화의 부흥으로 이어졌고, 당대 명창들이 남긴 유성기음반은 20세기 전반기 판소리에 대한 이해는 물론 그 이전 시기인 19세기 판소리에 대한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준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Pansori audiences through the medium of phonograph records which emerged in the modern times. From 1929 to 1945 when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enjoyed its period of prosperity, the musical culture of the traditional society was dismantled and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Pansori performance changed dramatically through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as well as the change of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caused by the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created new types of Pansori enjoyment, which increased the population of audiences and diversified the aesthetic concepts of Pansori. The audiences who enjoyed Pansori through phonograph record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a small number of Gwimyeongchang group (people who enjoyed Pansori fully and aesthetically) and a large number of the public group. While the former tried to appreciate legitimate Pansori songs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Pansori history and an aesthetic sense of Pansori, the latter purchased phonograph records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Pansori singers who phonographically recorded their songs or their preference for a specific phrase and strongly pursued its popularity. Accordingly, the former preferred Myeongchangje Records, which imitated Deoneum (a section unique to a particular singer) of eight master singers who lived in the 19th century. The latter group preferred Cheongguseong (Innate, glossy voice of high tone) rather than the thick vocal sound of Sooriseong. Therefore, Lee Hwajungsun and Im Bang-Ul recorded a lot more songs than other Pansori singers and won fame as a rising master singer. Pansori singers valued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public as well as a small number of Gwimyeongchang group and tried to actively reflect them in Pansori. Accordingly, they made records reflecting their individual legitimacy on one hand and tried to meet the demand of the public to some extent. The development of the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in the early 20th century caused the revival of Pansori culture and enable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Pansori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목차

1. 머리말
2. 유성기음반의 등장으로 인한 판소리 음악문화의 변화
3. 유성기음반 수록 판소리의 특성과 미의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기련. (2010).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판소리연구, (), 163-194

MLA

성기련.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판소리연구, (2010): 163-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