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활자본 토끼전의 양상과 근대적 향유

이용수 0

영문명
The aspect and the modern enjoyment of the type-printed Tokkijeon: with the by Sinkuserim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동건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6집, 147~1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근대라고 하는 시기에 활자본이라고 하는 새로운 매체로 등장한 토끼전이 어떻게 향유되었으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의 연구를 위하여 1910년대 등장한 활자본으로서 대중독서물로서의 성격이 뚜렷하고 오랫동안 사랑을 받은 <별주부전>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별주부전>은 그간 충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현학적이면서도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된 작품이다. 연구 결과 <별주부전>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첫째, 현학과 계몽을 들 수 있다. 조선후기의 다양한 삶의 군상들을 투사해 놓은 우화소설의 집산체가 토끼전이고, 그러한 토끼전의 의미 지평을 가장 압축적으로 표현해 놓고 있는 부분이 어족회의와 모족회의다. 그런데 어족회의와 모족회의가 변형되거나 빠져 있는 대신 고사의 나열로 현학을 드러내고 있다. 더구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가르치려고 하는 계몽의 의도로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별쥬부전>은 한시를 삽입하고 모족회의에서 설화적 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 민중적 형식을 탈피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별쥬부전>은 별주부의 출륙을 만류하는 노모나 아내, 별주부를 전송하는 친지들의 역할을 제거하고 있다. 이로써 별주부는 별주부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국가에 속한 인물로만 조명되고 있다. 우생원 만남에서 우생원의 고충이 전혀 드러나 있지 않다는 점, 토끼나 별주부의 후일담이 없다는 점 등에서도 이러한 개인적인 삶의 탈각을 살필 수 있다. 이상의 변화들은 1910년대 근대라는 사회변화와도 관련이 있음을 살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how and understand how the appearance of the type-printed books make the Tokkisjeon changed and enjoyed in the modern times. For this purpose, the type-printed book among many kinds of Tokkijeon, which appeared in 1910s, has been chosen, because it has been loved and read by many people in those days.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have been said to be the pedantry and the enlightenment. Tokkijeon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fables in the latter times of Chosun dynasty, and the meeting of the fishes and the meeting of the animals with fur have the very significance. But in these meetings are omitted or exchanged with lists of historical fables and events. And through these modifications the intention to the enlightenment can be also noticed, and with the insertion of the Chinese poem has got out of the popular form. In the old mother and wife of Byeoljyubu, and its relatives do not appear, and after these characters have been eliminated from the novel, Byeljyubu came to be the one who belonged only to the nation. Some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okkijeon show also the elimination of individual life, and these changes seem to have great relations to the social change in 1910s.

목차

1. 서론
2. 활자본 토끼전의 양상과 <별쥬부전>
3. 근대 독서물로서의 <별주부전>의 특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건. (2008).활자본 토끼전의 양상과 근대적 향유. 판소리연구, (), 147-174

MLA

김동건. "활자본 토끼전의 양상과 근대적 향유." 판소리연구, (2008): 147-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