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의 구비연행서사시, 벤스니 울게르와 판소리

이용수 0

영문명
Mongolian Oral Narrative, Bensnii-Ulger &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박소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6집, 5~4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몽골의 벤스니 울게르(бэнсний Yлгэр, 本子 烏力格尒)는 우리말로 ‘설본설창(說本說唱)’이라 번역할 수 있는 몽골의 구비연행서사시이다. 본 연구는 벤스니 울게르를 중심으로 형성과 전파, 연창방식, 설창설본의 종류와 음악적 특징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판소리와 비교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18~19세기는 소설의 시대였으며, 근대로의 전환기였다. 서양의 경우 읽는 책으로서의 소설이 발전하였다면, 한국과 몽골은 듣는 소설이 유행한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사적 현상은 몽골의 벤스니 울게르와 한국의 판소리라는 새로운 예술장르를 탄생시켰다. 몽골의 벤스니 울게르와 판소리를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18세기 비슷한 시기에 몽골과 한국이 중원문화의 영향 아래에서 한(漢)족의 고전적인 이야기를 수용하고 연창할 때 자아를 잃지 않고 자신의 발전규칙을 배신하지 않았다는 점이며, 이는 양국이 중국의 역사소설 <삼국지연의>의 수용과정을 통해 확인된다. 그 결과 한국과 몽골의 구비연행서사시가 발전하는 과정 중, 동시에 같은 하늘 아래 존재하는 다른 민족문화교류의 침투에도 불구하고, 전통문화예술의 발생 그대로의 모습을 보존하는 원생성(原生性)과 언제나 변함없는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해 왔다는 공통점을 확인하였다. 벤스니 울게르와 판소리는 동일한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구전심수(口傳心授)’와 ‘즉흥창작(卽興創作)’이란 전승과 창작의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된 구비연행서사시이다. 때문에 한국과 몽골은 새로운 예술장르가 형성되기까지의 문화적 수용양상이 동일하다. 이는 단순히 전통적인 것과 외래적인 것을 구별하지만, 그 둘을 구별하면서도 융합을 도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사례가 중국의 <삼국지연의>의 수용인데, 양국은 외래의 문화를 저항 없이 받아들였으며, 외래의 것을 표면에 내세우고 자기는 잠적하여 음성화(陰性化)시킨 점에서 동일한 문화현상을 일으켰다.

영문 초록

Bensnii-Ulger of Mongolia is oral narrative that can translate into Seolbonseolchang(說本說唱)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nsnii-Ulger with Pansori of our country in terms of development, spread, a method of narrative, type of Seolbonseolchang and musical characteristics.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the world could be called the eras of novel and transitional periods into early modern times. During the periods, novels gained popularity in the West as what was read, and novels to be heard were widely favored in Korea and Mongolia, instead. The social phenomenon contributed to creating new genre of art in Mongolia and Korea that was respectively named Bensnii-Ulger and Pansori in Mongolian and Korean. Bensnii-Ulgeri and Pansori were select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since the two countries received the classical stories of the Han(漢) race and turned them into music in the 18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without losing their own identities nor breaking their relevant traditional rules. The processes that the two nations received a Chinese historical novel entitled oral traditions are evidence of it. There is a common denominator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ral narrative and that of the Mongolian one. Despite the invasion of contemporary foreign culture in the name of cultural exchange, the two remained intact and constant as part of cultural heritage. Bensnii-Ulger and Pansori were passed onto the next generations and created in the same way, which were respectively named a method of narrative and impromptu creation. Thus, Korea and Mongolia received another culture in the same manner and created new genre of art based on that. They drew a line between tradition and foreign things, but they attempted to fuse them at the same time. A good example is the reception of the Chinese novel entitled Samgukjiyeoneui. There were the same cultural phenomena in both countries in that they received foreign culture without resistance and made it rise to the surface while having their own things stay behind it.

목차

1. 서론
2. 몽골 구비연행서사시의 종류와 분포
3. 벤스니 울게르의 연구현황
4. 형성과 전파의 동시성(同時性)
5. 연창방식의 비교
6. 설창설본과 음악적 특징의 비교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현. (2008).몽골의 구비연행서사시, 벤스니 울게르와 판소리. 판소리연구, (), 5-45

MLA

박소현. "몽골의 구비연행서사시, 벤스니 울게르와 판소리." 판소리연구, (2008): 5-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