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가타리모노(語り物)의 양식화(樣式化)와 판소리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Japanese Katarimono's and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박영산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6집, 47~8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고에서는 일본 가타리모노(語り物)의 계보를 헤이쿄쿠(平曲)와 비파법사(琵琶法師)를 중심으로 전개하고, 조루리(浄瑠璃)의 발생과 변모를 중심으로 예능의 양식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 전통예능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견지에서, 조루리의 양식화와 판소리의 위치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에서는 9세기경부터 구두 언어에 의한 기록문학이 정착되어 있었다. 그리고 기록문학이 발달한지 오백 년 뒤에, 구비문학의 기념비적 작품인 <헤이케 모노가타리>(平家物語)가 나왔다. 그 내용은 12세기의 무사 가문 헤이케(平氏)가 겐지(源氏)와 싸워 망한 사건의 기록으로, 13세기에 작품화했다. 이 이야기는 일본의 대표적인 가타리모노이며, 비파법사가 부르고 다녔다. 비파법사는 불교음악에서 사용한 쇼묘(声明)에 비파를 반주악기로 하여 ‘헤이쿄쿠’를 음송(吟誦)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일부는, 16세기 중엽에 전래한 현악기 샤미센(三味線)을 비파 대신에 사용했다. 또한, 사람들에게 친근한 제재(題材)를 다룬 <조루리고젠 모노가타리>(浄瑠璃御前物語) 등을 불렀는데, 이 새로운 서사(敍事) 음악을 ‘조루리’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가타리모노는 아야쓰리(操り)인형과 합체(合體)하고, 근세의 대표적인 예능인 닝교조루리(人形浄瑠璃)로 양식화하였다. 일본 가타리모노의 변모와 조루리의 양식화를 통해 동아시아 예능의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루리와 판소리의 공통적인 요소로서는 ‘반복’과 ‘열거’라는 중세의 수사적 기법이 있다. 조루리의 모노조로에(物揃え) · 모노즈쿠시(物尽し) · 미치유키(道行)는 가타리모노의 변모와 함께 서술표현의 정점에 다다른다. 판소리의 별곡 · 타령 · 노정기(路程記)는 채용 당시의 삽입가요가 그대로 이어져 온 것이다. 우리는 판소리의 대표적인 작품 <춘향가>를 비롯한 다섯 마당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해왔다. 전통을 지키는 것만큼, 전통을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genealogy of Japanese Katarimono centering around Heikyoke and Biwahaousi and the stylization of artistic accomplishments through orientation and transformation of Zyoururi.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universalism and distincitiveness of the traditional artistic accomplishments of East Asia by comparing the style and performance between Zyoururi and Pansori. The practice of documentation of the verbal language was settled in Japan around A.D. 900. Heike Monogatari, which is a monumental literary work of oral tradition literature, was released 5 centuries after written literature had been developed. The story of Heike Monogatari is one about a hero, Heike out of a samurai family in the twelfth century who tried to defeat Genzi, but was brought to ruin, and this story grew to be a literary work in the thirteenth century. This Monogatari is a typical one of Japanese Monogatari and Biwahousi moved around singing that. Biwahaousi was reciting Heikyoku, accompanying Syoumyou which used Buddhist music on the Japanese lute. And some was using the Shamisen introduced in the middle of sixteenth century instead of the Japanese lute, reciting Zyoururigozen Monogatari which dealt with familiar materials with people. This new narrating music is called Zyoururi and this Monogatari was embodied with a puppet and was developed as a representative gform of Ningyou Zyoururi of the modern times. The common characteristic between Zyoururi and Pansori is the rhetoric technic of 'repetition' and 'enumeration'. Mnozoroe, Monozukusi, Michiyuki of Zyoururi reached the peak of depictive expressions along with a change of Katarimono. However, Byorgok, Taryoung, Nozyonggi of Pansori ware passed down, remaining unchanged just as the inserted(gathered) song when they were adopted. That's because there were the efforts to conserve the five episodes including Chunhyan-ga, a typical work of Pansori. I think we need to appreciate an effort to create a new tradition, not merely to conserve the tradition.

목차

1. 머리말
2. 가타리모노의 계보
3. 조루리(浄瑠璃)의 발생과 변모
4. 맺음말 : 조루리의 양식화(樣式化)와 판소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산. (2008).일본 가타리모노(語り物)의 양식화(樣式化)와 판소리. 판소리연구, (), 47-81

MLA

박영산. "일본 가타리모노(語り物)의 양식화(樣式化)와 판소리." 판소리연구, (2008): 47-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