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옥중화>를 통해 본 '이해조 개작 판소리'의 양상과 그 의미

이용수 3

영문명
An Aspect and Significance of Lee, Hae-jo's Adapted Novel from Pansori through Okjunghwa(『獄中花』)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오윤선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1집, 381~41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소설작가인 이해조가 산정한 판소리 <옥중화>, <토의간>, <연의각>, <강상련>은 판소리계 소설 내에서 큰 이본군을 형성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해조의 개작이 가장 많이 가해지고 있는 <옥중화>를 통해 개작 판소리의 양상과 이해조의 개작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옥중화>의 모본이 되었다고 하는 <박기홍조 춘향가>와 <옥중화>를 면밀히 살펴본 결과, 그동안 알려진 바와 달리 <옥중화>는 비속한 말들도 그대로 살아 있고 어느 이본보다도 풍부한 사설을 담고 있었다. 이해조의 판소리 개작 목적이 기존 판소리를 자신의 의도에 맞게 다 바로 잡는데 있기 보다는 이미 좀 늦었지만 있는 그 상태로의 보존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적층문학으로서의 판소리가 가진 변이 가능성이 작품을 발전시키기 보다는 판소리 광대의 학문의 부족함 때문에 점점 타락하여 가고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이해조는 판소리의 교훈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기존의 판소리를 훼손하지 않고 유지 전승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한편, 이들 소설에서 이해조의 개작역할이 그리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판소리계소설에서 큰 이본군을 형성하게 된 요인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구활자본 판소리계 소설에서 이해조 산정 판소리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80%를 넘고 있는데, 이는 이해조의 작가적 명성과 신소설식의 제목 그리고, 출판사의 유통망과 판매전략 등이 어우러지고 독자들이 이에 호응한 결과다. 이들은 후에 당시 성행했던 창극의 영향을 받아 <증상연예 옥중가인>, <도상 옥중화>와 같이 변형된 형태로도 등장했고 큰 호응을 얻었다.

영문 초록

An Aspect and Significance of Lee, Hae-jo's Adapted Novel from Pansori through Okjunghwa(獄中花)Oh, Yoon SunLee, Hae-jo, sinsoseol writer adapted Okjunghwa, Touigan, Yeonuigak, Gangsangryeon from pansori which are formed a large group of versions in pansori-soseol. I researched their aspects and Lee's intention of the adaptation through Okjungwha, shows the largest variation. I compared Okjungwha with Park, Gi-hong's Chunhayng-ga, the original text. Therefore I conclude that Lee saves the original vulgar expressions. Lee's intention of the adaptation was to preserve the pansori as it was rather than to amend it by his purpose. He thought that pansori was vulnerable to gwangdae's uncultivated idea. He paid attention to pansori's function as a moral culture and focused to preserve it and to hand down as the original content. I researched the cause of popularity in Lee's adapted pansori even though he had nothing particular to change. His adapted versions of pansori occupied over 80% in Guhwaljabon pansori soseol. Because Lee, Hae-jo had renown for an author, the title was sinsoseol-style and publishing company's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rategy were efficient. Most important element was the reading public's enthusiastic reaction. Afterwards, Lee's version transformed into Jeungsangyeonyeokjunggain, Dosangokjunghwa were influenced by Changgeuk, and had a good reputation.

목차

1.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2. 『매일신보』 연재판과 박문서관판 <옥중화>의 비교
3. <박기홍조 춘향전>과의 비교를 통해 본 <옥중화>의 개작양상
4. 구활자본 소설에서 <옥중화>의 위치와 유통의 의미
5. <옥중화>의 후대적 변모와 의미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윤선. (2006).<옥중화>를 통해 본 '이해조 개작 판소리'의 양상과 그 의미. 판소리연구, (), 381-413

MLA

오윤선. "<옥중화>를 통해 본 '이해조 개작 판소리'의 양상과 그 의미." 판소리연구, (2006): 381-4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