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문일가 판소리의 판소리사적 의의

이용수 13

영문명
Historical Significance of Pansori of the Jung's Family: Based on Musical comparison between Simchungga of Jung Kwon Jin and that of Han Ae Su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혜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1집, 45~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재근-정응민-정권진으로 이어지는 정문일가의 소리는 근대 이후 판소리계의 큰 맥을 이루었던 중요한 소리제다. 이 글은 정문소리에 대한 판소리사적 의의를 찾기 위해 그들의 소리에 있는 음악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정응민의 소리는 음향자료가 없으므로 그의 아들 정권진의 심청가를 이날치판 한애순 창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정권진은 계면조와 평조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곡성우조, 설렁제, 메나리조, 염불조, 시창조, 독축조 등의 다양한 악조와 선율형태를 활용하고 있다. 반면 한애순은 계면조만으로 지속하는 대목이 훨씬 많고 기타 악조나 선율형의 사용도 정권진보다는 상대적으로 적다. 세부 대목 비교 결과, 계면조 대목에서 한애순은 느린 속도로 화려한 시김새를 구사하고, 평조로 변조가 짧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정권진은 계면조 대목이지만 평조를 섞어 쓰는 경우가 많고 시김새가 적은 담담한 선율을 사용하고 있다. 비교 결과 정권진을 통해본 정문소리의 음악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정문소리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치밀하게 짜여진 ‘형식미’라고 본다. 한 대목을 한 가지 악조로, 한 가지 장단으로 표현하지 않고 변조와 변청, 여러 장단을 적절히 구사함으로써 음악적 짜임새를 탄탄히 하였다. 둘째, 정문소리는 ‘음악적 다양성’으로 ‘세련미’를 구축하였다. 더늠과 삽입가요를 활용한 다양한 악조, 장단의 분화를 통한 다양한 속도감, 붙임새의 활용 등이 돋보인다. 셋째, 정문소리는 악조의 활용에 있어서 흥미로운 ‘균형감각’을 유지하고 있다. 평조를 활용하는 대목에서는 반드름을 활용하고, 계면이 강한 대목에서는 평조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정문소리는 20세기 판소리 전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소리제다. 그리고 음악적 다양성과 형식미, 세련미를 갖춘 소리이기에 앞으로의 판소리사에서도 제 몫을 다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Historical Significance of Pansori of the Jung's Family- Based on Musical Comparison between Simchungga of Jung Kwon Jin and that of Han Ae Sun -Kim, Hey JungThe pansori of the Jung's family from Jung, Jae Keun, Jung, Eung Min, and Jung Kwon Jin, normally called Bosungsori or Kangsanje, has very remarkabl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ansory since the modern times. This article will focus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singing in order to fi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munsori. Since we do not possess the recorded material of Jung, Eung Min's singing, we have compared the Simchunga of Jung, Eung Min's son, Jun, Kwon Jin with Inalchipan Han, Ae Soon in order to give concrete shapes to their characteristics. Here are the summarized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정권진·한애순 심청가의 음악적 구성 비교
Ⅲ. 정권진·한애순 심청가의 음악적 표현양상 비교
Ⅳ. 정문소리의 음악적 특성과 판소리사적 의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정. (2006).정문일가 판소리의 판소리사적 의의. 판소리연구, (), 45-75

MLA

김혜정. "정문일가 판소리의 판소리사적 의의." 판소리연구, (2006): 45-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