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또랑광대의 성격과 현대적 변모

이용수 4

영문명
The character and the mordern transformation of the 'ddorang kwangdae'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기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18집, 7~2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또랑광대는 명창들 사이에서 학습이 시원치 않은 소리꾼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고흥지역 이종석씨의 사례를 통해 전통사회에서의 또랑광대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소리꾼의 역량에 따라 명창, 한량, 방안퉁소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방안퉁소에 해당하는 소리꾼이 바로 또랑광대이다. 이들 또랑광대는 기본적으로 음악에 대한 재능이 뛰어나서 상여소리나 노동요 등과 같은 소리를 잘하였으며, 노동현장이나 마을의 경조사가 있을 때 중요한 몫을 수행하였다. 판소리에 대한 애정이 대단하여 소리를 배우기는 하였으나 체계적인 학습을 거쳐 소리의 중심을 잡아나가지는 못했기 때문에 무대에서 소리를 할 수가 없었고 마을 단위에서만 활동하였다. 또랑광대는 명창의 소리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던 일반 서민들과 판소리를 공유함으로써 판소리 문화의 저변을 넓히고 향유층을 확대해 나가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오늘날 또랑광대를 자처하며 활동하는 일군의 소리꾼들이 있다. 이들은 전통사회의 또랑광대가 지녔을 민중성, 현장성에 주목하여 또랑광대의 의미를 재규정재해석하고 자신들의 이름으로 삼고 있다. 오늘날 판소리전승에 있어서 가장 심각하게 노정되고 있는 문제는 역동성과 현장성이 약화되면서 갈수록 ‘판’이 정형화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또랑광대 그룹은 이러한 문제적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대중성을 회복하기 위해 새로운 판소리, 창작판소리의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conception and the special quality of 'ddorang kwangdae', and then to show the 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ddorang kwangdae'. In goheung, 'ddorangkwangdae' was called to 'bangan tungso'.None of 'ddorang kwangdae' claimed to to be a 'ddorang kwangdae'. 'ddorang kwangdae' means inexperienced singer. But 'ddorang kwangdae' had a talent for music. So they sang well a kind of a pallbearers' dirge or labor song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abor field or the occasion of the town. Because they loved pansori, they learned pansori. Because they did not have a systemic learning, they could not circles in the metropolice. So they play an active part in town, their activity proved to enrarge the boundary of singing.There are singer that profess to be a 'ddorang kwangdae' today. They give attention to the popularity and fieldness of 'ddorang kwangdae', call themselves 'ddorang kwangdae'.

목차

1. 또랑광대에 주목하는 이유
2. 또랑광대의 개념
3. 구체적 사례를 통해 본 또랑광대의 성격과 역할 - 고홍 이종석씨를 중심으로
4. 현대사회에서의 또랑광대의 성격의 변모 및 활동상
5. 또랑광대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형. (2004).또랑광대의 성격과 현대적 변모. 판소리연구, (), 7-23

MLA

김기형. "또랑광대의 성격과 현대적 변모." 판소리연구, (2004): 7-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