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의 발전 전망과 구도

이용수 9

영문명
The Future Prospect and Composition of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대행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18집, 25~4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가 지난 수세기 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민족문화로 성장할 수 있었던 자질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 판소리가 지닌 문화표상으로서의 자질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판소리는 그 언어 표현과 인물 형상에서 민족문화의 표상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흔히 한문투요 상투적이라고 말하는 언어 표현은 다른 문학 작품들에 비추어볼 때 당대의 전형적인 언어로서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표상성을 지닌 것이었다. 그리고 오늘날 남아 전하는 판소리작품들을 보면 그 인물들이 지닌 인물 형상이 모두의 공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문화적 표상성을 지닌 것이다. 따라서 판소리의 미래는 이러한 자질을 최대한 살려서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때 전망이 밝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승되는 판소리의 보존에 못지않게 새로운 판소리의 적극적 창작이 필요하다. 새로 창작되는 판소리는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이 시대의 언어로 표현하여 문화적 표상성을 지녀야 하며, 인물 형상은 우리 당대의 이념적 지향이나 관심사를 형상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새로 창작되는 판소리의 형식은 모두가 즐겨 부를 수 있을 정도의 짧은 형식, 쉬운 구조가 될 것이다. 이런 전망을 보다 확연하게 실천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서술적 이론 일변도로 연구해 온 판소리의 연구가 수행적 이론을 지향하는 연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수행적 이론은 실천을 위한 기획적 연구와 문제를 해결하는 처방적 연구로 나뉘는데, 판소리는 양면의 노력을 통해서 새로운 시대의 민족문화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anguages and characters of pansori are cultural representation.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has come to occupy a new and important place in the study of culture. Representation connects meaning and language to culture. To represent something is to describe or depict it, to call it up in the mind by description or portrayal or imagination: to place a likeness of it before us in our mind or in the senses. To represent also means to symbolize, stand for, to be a specimen of, or to substitute for. pansori was a kind of representation in language expression and the image of character. For the future of pansori, therefore, the language expression is changed into contemporary vocabularies and figure of character is created as typical model of modern characters. The forms of new creation are like tanka, tomaksori. Languages can use signs to symbolize, stand for of reference objects, people and events in the so-called real world. The performative approaches can function as new developer of planning and prescriptive theori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ansori in the future.

목차

1. 전망의 필요성
2. 판소리의 민족문화적 의의
3. 表象으로서의 판소리
4. 表象의 창조를 지향하며
5. 遂行的 연구를 기대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행. (2004).판소리의 발전 전망과 구도. 판소리연구, (), 25-41

MLA

김대행. "판소리의 발전 전망과 구도." 판소리연구, (2004): 2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