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수성의 통합과 통각의 초월적 통합
이용수 2
- 영문명
- The Unification of Sensibility and the Transcendental Unity of Apperception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김영희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33권 제1호, 27~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임마누엘 칸트는 대상은 사물 자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주관 일반에 의하여 구성된 현상이 된다고 주장하였고 이는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으로 불린다. 엘리엇이 칸트의 첫째 보고서에서 언급하는 칸트의 특이점이 바로 그 점이었다. 칸트는 독일 관념론을 대표하는 철학자이고 브래들리와 베르그송이 그의 뒤를 이었다. 그동안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상호 유기적 관계 속에서 불가분의 연속체로 파악하는 흐름(flux)의 개념이나, 「전통과 개인의 재능」, 「햄릿」, 「형이상학파 시인들」에 나오는 직각 경험(immediate experience), 역사의식(historical sense), 감수성의 통합(unification of sensibility) 등 엘리엇의 핵심 시론들이 베르그송이나 브래들리의 인식틀에서 나왔다고 추측되어왔다. 하지만 2013년 3월에 엘리엇이 하버드대학교 철학 수업에 제출한 「칸트의 범주에 관한 보고서」에 보면, 엘리엇은 칸트의 초월적 철학에서 이미 인지하고 있었음 확인할 수 있다. 사고와 느낌, 즉 지성과 감성이 통합되어 분리되지 않은 경험을 나타내는 감수성의 통합은 칸트의 통각의 초월적 통합의 다름 아닌 것이다.
영문 초록
Immanuel Kant argued that the object does not represent the state of the thing-in-itself, but becomes a phenomenon constructed by human subjectivity in general, and this i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Kant is a philosopher representing German Idealism, followed by Bradley and Bergson. In the meantime, it has been assumed that Eliot’s core poetics developed from the cognitive framework of Bergson or Bradley: the concept of flux that grasps the tim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 an indivisible continuum in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s, immediate experience, historical consciousness, Impersonality, and unification of sensitivity, etc. in “Tradition and Individual Talent,” “Hamlet,” and “Metaphysical Poets.” However, in the “Report on Kant’s Categories” submitted by Eliot to a philosophy class at Harvard University in Mar. 2013, it can be confirmed that Eliot was already aware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Eliot’s unification of sensibility, which represents an experience in which, intellect and sensibility are unified, is nothing other than Kant’s transcendental unity of apperception.
목차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 S. 엘리엇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감수성의 통합과 통각의 초월적 통합
- 「이스트 코우커」 읽기
- T. S. 엘리엇의 “유한한 중심”(finite center)과 월러스 스티븐스의 “최상의 허구”(supreme fiction)의 철학적 시학 비교연구
- T. S. Eliot and Theological Modernism: A Close Reading of “Syllabus: Modern French Literature”
- T. S.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셰익스피어의 『햄릿』: “자기와의 대화” 에 나타난 극적 독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7집 2호 목차
-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와 얀 마텔의 『셀프』에 나타난 젠더 허물기 정치학
- “The Writer’s Mind”: An Interview with Yann Martel at the Canadian Embassy in Seoul (June 13, 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