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후기 忠州城의 신지견

이용수 114

영문명
A New View of Chungjuseong [Chungju Sanseo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Focused on the New Discovery of Gyejoksan Fortress Site in Chungju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백종오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6號, 125~14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려‧몽골전쟁(1231~1273)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전승의 현장인 忠州城[忠州山城] 의 신발견 사례를 통해 위치 비정의 정합성을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충주성은 남산성설, 대림산성설, 충주읍성설, 덕주산성설 등이 대두되었다. 그중에서州城은 충주읍성, 山城은 대림산성이 설득력을 얻어왔다. 하지만 山城入保는 기존의 양산성, 양근성, 천룡산성, 입암산성 등과 같이 고험처의 산악산성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부합하는 충주 계족산 城址는 충주성[충주산성]으로 정합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방증하였다. 그간 계족산 城址는 조선시대 심항현영액의 연장선상에서 성벽을 파악하다보니, 여몽전쟁시 충주산성과는 무관하게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곳 계족산(현 계명산)은 충주의 주산으로 험준한 산악산성 입지와 함께 충주 邑治를 향한 主 防禦方向, 고려시대 축성술과 출토유물 등으로 볼 때 忠州山城 防護別監 金允侯와 관련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유적으로 판단되었다. 즉 몽골 1차(1231), 5차(1253), 6차(1256) 침입 등의 전투가 벌어졌으며 그 사이 금당협(1253), 다인철소(1254), 대원령(1255), 박달현(1258) 전투 등도 이곳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몽전쟁에서 몽골의 전투 방식은 현지 投蒙勢力들을 앞세우는 전법을 구사했다. 이것은 실제守城戰에 있어서 내부의 정보를 그대로 노출시킨다는 취약성을 가지게 된다. 다시말해 고려군이또 다른 고려군+몽골군을 상대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려의 병제와 운용, 축성과 시설, 전술 및 전략 등 고려군의 내밀한 정보까지 몽골군이 손쉽게 파악한 상태에서 항복 권유와공성전을 되풀이하였던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략의 비대칭을 고려할 때, 1253년 충주산성 전투는 鼎足之勢 山城과 고험처, 유격전을 통해 극복 및 만회의 기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계족산 城址의 윤곽이 어느 정도 파악되었다. 그만큼 앞으로의 고려 후기 충주성[충주산성]의 위치 비정과 그 역사적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활력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아울러 계족산 城址의 학술조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전체적인 현황과 구조, 축성술 등이 규명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istency of the location of Chungjuseong [meaning Chungju Fortress and in other words, Chungju Sanseong meaning Chungju Mountain Fortress], the site of one of the most dramatic battles of the Goryeo-Mongol War(1231-1273), through the perspective of a new discovery. Various hypotheses related to Chungjuseong Fortress have emerged so far, such as Nam Sanseong, Daerim Sanseong, Chungju Eupseong, Deokju Sanseong, etc. Among them, Chungju Eupseong as the fortress of the province and Daerim Sanseong as the mountain fortress have been regarded as persuasive. However, serving as a mountain fortress for defense and protection was done at high and rugged mountain fortresses such as Yang sanseong, Yanggeunseong, Cheonryong Sanseong, and Ibam Sanseong, which are recorded in the literature. In line with this, the fortress site of Gyejoksan Mountain in Chungju proved to have conformity with Chungju Fortress [Chungju Sanseong]. Until now, the fortress site of Gyeyoksan Mountain has been recognized as an extension of the territorial range of Simhanghyeon in the Joseon Dynasty. Thus, the walls were thought to be not related to Chungju Sanseong during the Goryeo-Mongol War. However, Mt. Gyejoksan (now Mt. Gyemyungsan) is the main mountain of Chungju and shows a rugged mountainous position for a fortress site. In addition, based on the main defense direction toward Chungju Town,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Goryeo Dynasty, and excavated artifacts, the site was judged to be highly likely to be related to Geum Yun-hu, who was a defense official of Chungju Sanseong. In other words, it was the site of battles such as the 1st(1231),5th(1253), and6th (1256) Mongol invasions. In between, the battles of Geumdanggyeop (1253), Daincheolso (1254), Daewonryeong (1255), and Parkdalhyeon (1258) are also believed to have occurred around this place. The Mongolian method of warfare in the Goryeo-Mongol War was to use local forces that had surrendered to the Mongols. This has the vulnerability of exposing internal information in the battles to defense the capital. In other words, a Goryeo army had to fight against another Goryeo people combined with Mongolian army. The Battle of Chungju Sanseong (1253) had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opportunity to overcome and recover the asymmetry of this strategy through tripod-shaped terrain site, the high and rugged location, and the guerrilla warfare. This is the first time the outline of the fortress site of Gyejoksan Mountain has been identified. We hope that it will shed new light on the location of Chungjuseong [Chungju Sanseo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t is also hoped that academic research on the Gyeyoksan fortress site will be conducted in a systematic manner so that the overall status, structure, and consecration techniques of the fortress can be clarified.

목차

Ⅰ. 머리말
Ⅱ. 충주 계족산 城址의 신사례
Ⅲ. 고려 후기 忠州城[忠州山城]의 신지견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종오. (2023).고려 후기 忠州城의 신지견. 백산학보, (), 125-148

MLA

백종오. "고려 후기 忠州城의 신지견." 백산학보, (2023): 125-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