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성격

이용수 61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Bronze Age in the Midwest: Focusing on the Small Tomb chamber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종오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6號, 39~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중서부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중 소형무덤방을 분석한 것이다. 유역별, 무덤별로 정리해 입지와 분포, 무덤방 크기와 특이 구조, 묻기와 화장 공간을 살펴보고, 출토유물의 형식과방사성탄소연대 값을 고려해 축조 시기를 알아보았다. 무덤방 수는 60기이며, 황해와 가까운 서해안, 안성천에 48기가 분포한다. 돌널무덤은 단독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가지며, 고인돌은 여러 기가 함께 확인되는 양상이다. 입지는 주로 구릉의가장 높은 곳, 능선의 평탄지인 점을 통해 조망이 유리한 곳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 무덤방 평균 크기는 임진강에 비해 약 30㎝ 차이가 있지만 장단비는 비슷한데, 이는장방형의 무덤방을 가진 고인돌의 영향으로 보인다. 반면, 여러 종류의 무덤이 분포한 다른 유역은 방형‧원형의 ‘ㅁ’자 무덤방으로 장단비의 차이가 보인다. 토진리 돌널무덤의 ‘ㅍ’자 평면은 강화 오상리, 안악 노암리, 개주 화가와보 등 동북아시아의대형 탁자식 고인돌과 유사하며, 이는 집단 간의 교류나 영향으로 보인다. 수월암리 고인돌은 네 가지 형식의 무덤방이 확인된다. 그 중 수월암리 Ⅲ-2형은 1단에 재차판 2단 구덩이로 여기에 목탄‧재, 사람 뼈를 채우고, 그 위에 돌널을 조성한 특이 구조이다. 화장과 관련한 무덤방은 32기로 화장 장소에 따라 인골의 상태가 달라지는 점을 고려해 분류하였다. 화장Ⅰ형의 장소는 무덤 내부이며, 묘광이나 무덤방에 피열흔, 소결흔이 나타난다. 화장Ⅱ 형의 장소는 외부인 탓에 무덤에서 형체를 구분하기 힘든 인골 편과 목탄‧재만이 확인된다. 보통 Ⅱ형의 장소가 확인되지 않는 점을 참고했을 때, 토진리‧화양지구 돌널무덤에 인접한수혈이 주목된다. 중도동에서도 유사한 구조가 확인되는데, 화장 공간이 중서부지역과 비슷한것을 통해 당시 습속 중 하나인 것으로 추정된다. 용이동 돌널무덤은 장방형 묘광에 무덤방이 한쪽으로 치우쳤으며, 기존 화장Ⅰ형과 다른 모습으로 대구 신서동에서 비슷한 양상이 확인된다. 이 구조는 무덤에서 육신을 태우고, 그 자리에무덤방을 축조한 것으로 제자리 화장과 옮겨 묻기 사이의 다른 방식이다. 유물은 화장한 고인돌과 돌널무덤 중 안성천과 서해에 분포한 유적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된다. 일단병식 석검 + 능형 석촉 조합이 여러 종류의 무덤에서 출토되며, 축조 시기는 기원전 8~2세기로 장기간 유행한 부장 풍습 중 하나이다. 심부와 병두부 폭이 같은 것이 병두부가 더 넓은 것보다빠르다고 알려졌는데, 교정연대 값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인다. 이는 시간에 따른 형식 변화가 아닌 여러 제작 방식이 함께 공존한 것을 의미한다. 적색마연호는 남해안 무덤을 중심으로 부장되는지역색이 특징이나 최근 중서부지역에서 확인된 점은 남한지역의 부장 풍습이 어떻게 공유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 단서가 될 것이다. 화장 움무덤과 돌덧널무덤은 이른 시기이고, 소형무덤방에 옮겨 묻기를 한 것은 늦은 것으로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조사된 양수리 2호는 후자에 속하지만, 교정연대 값은 기원전 11~10세기로 비교적 이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한지역에서 확인되는 화장 무덤은 일찍부터 종류, 크기, 형식 등 다양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small tomb chambers of Bronze Age in the Midwest. Organized by basin and by tomb, this study examined their locations and distribution, tomb chamber size and special structures, burial and cremation spaces, and construction times based on excavated artifact types and radiocarbon dates. A total of 60 tomb chambers were identified, with 48 of them located on the west coast near the Yellow Sea and Anseongcheon Stream. The stone-coffin tombs are characterized by a singular distribution pattern, while the dolmens are found in groups. The preferred location for these tombs seems to be sites with favorable views, often situated at the highest point of a hill or on the flat surface of a ridge. The average tomb chamber on the west coast differs by about 30 centimeters compared to those around the Imjin River, but the length to width ratio is similar, which seems to explain the distribution of dolmens with a rectangular tomb chamber. On the other hand, other basins with multiple tombs have a different ratio of length to width, with either a rectangular or circular tomb with a square-shaped tomb chamber. The “ㅍ”-shaped plan of the stone coffin tomb in Tojin-ri is similar to large tabletop dolmens in Northeast Asia, such as those in Ganghwa Osang-ri, Anak Noam-ri, and Huojia Ancient Tombs in Gaizhou City, which is likely due to interaction or influence between groups. Four types of tomb chambers were identified in the dolmens of Suwolam-ri. Among them, Type Ⅲ-2 stands out as an unusual structure, characterized by a two-tiered excavation. In this structure, a single-tiered pit was dug, and the second-tiered pit was filled with charcoal, ashes, and human bones. On top of this, a stone coffin was constructed. There are 32 types of cremation tomb chambers categorized based on the condition of human bones found at the cremation sites. Cremation type I sites were located inside the tomb, where blood heat marks and sintering marks were observed in the tomb light or tomb room. Cremation type II sites were outside the tomb, with only human bones, charcoal, and ashes identified,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ir form. Cremation type I is found exclusively in stone-coffin tombs, while type II is found in many types of tombs. Although type II sites are generally not well-identified, the stone-coffin tombs in Tojin-ri and Hwayang District are notable for their adjacent pit toward the north. A similar structure is also found in Jungdo-dong. The similarity in the location of the cremation space to that in the Midwest suggests it was a common practice of the time. The stone-coffin tombs in Yongi-dong exhibit a structure with a rectangular chamber and the stone coffin located on one side, which differs from the existing cremation type I. A similar structure was found in Sinseo-dong, Daegu. This structure represents a different method between in situ cremation and transferred burial. It involves burning the body in the tomb and constructing a tomb chamber in its place. Although only a few examples have been found so far,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is practice. Artifacts were concentrated in the cremation-type dolmens and stone-coffin tombs of the West Sea and Anseongcheon Stream. One-piece handle-type stone daggers, combined with polished stone arrowheads, were discovered in various tomb types, with construction dates ranging from the 8th to the 2nd century B.C. It is known that daggers with guards and pommels of equal width are earlier in date than those with wider pommels, although the calibrated date values may differ. This suggests the coexistence of multiple production methods rather than a change in form over time. Red burnished jar are characterized as grave goods buried in certain regions, centered on the

목차

Ⅰ. 머리말
Ⅱ. 분포와 입지
Ⅲ. 소형무덤방의 여러 특징
Ⅳ. 출토유물 및 조성시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오. (2023).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성격. 백산학보, (), 39-68

MLA

김종오.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성격." 백산학보, (2023): 3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