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구부의 크기에 따른 외부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Impact of Opening Size on Fire Spread Across Vertical Exterior Surfac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권오상 김흥열 강현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4호, 71~7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의 화재실험을 통해 개구부 크기에 따라 외부로 출화되는 화염에 의한 외벽의 온도 및 열유속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위험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화재실험은 2.4(L) × 3.6(W) × 2.4(H) m 크기의 구획 공간 Mock-up에서 목재크립을 가연물로 사용하고 햅탄을 초기 착화재로 사용하였다. 개구부는 2.2(L) × 2.0(H) m (#1)와 2.2(L) × 1.0(H) m (#2) 크기로 Mock-up의 전면부에 단일 개구부로 설치되었으며, 외부의 상부 벽면에 개구부 최상부(0.0 m), 0.5, 1.0 m에서 온도와 열유속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최대 열유속은 #1에서 15.0 kW/m2이고 #2에서 42.4 kW/m2로 측정되었다. 또한 최대 온도는 #1에서는 291.0 ℃이고 #2에서는 626.4 ℃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는 개구부 크기에 따른 구획공간의연소율뿐만 아니라 외벽에 주는 복사열과 온도의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of vertical fire spread on exterior walls subjected to flame ejection by measuring temperature and heat flux during real-scale fire experiments. The fir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mock-up measuring 2.4(L) × 3.6(W) × 2.4(H) m. Wood cribs were used as the combustible material, and heptane as the initial ignition source. The mock-up featured two singular openings of different dimensions, 2.2(L) × 2.0(H) m (#1) and 2.2(L) × 1.0(H) m (#2), on its front side. Temperature and heat flux variations were measured at the upper part (0.0 m) and on the exterior upper wall (0.5 and 1.0 m) of the mock-up. The maximum heat flux was 15.0 kW/m2 at location #1 and 42.4 kW/m2 at location #2. The maximum temperature was 291.0 ℃ at location #1 and 626.4 ℃ at location #2. This study examined the burning rate of the compartment and the impact of the opening size on the radiant heat and temperature of the exterior walls.
목차
1. 서론
2. 실규모 화재실험 계획
3. 실규모 화재실험 결과
4. 외부 수직화재 확산 분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AV 영상정보를 활용한 유역전체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의 위험단면 산정
- 저층수 배수를 위한 가동보의 안전성 평가
- 연속호우 기반 댐 붕괴모의에 관한 연구
- 한랭지역 기후조건에서 철도교량기초 거동 및 단열재 적용성 평가
- 토석류 사례 분석을 통한 구조물 취약곡선 개발
- 경사 지반에서 액상화에 따른 지반-말뚝 동적상호작용
- 철도교량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PointNet++기반 레일 자동 탐지 기술 연구
- 경화 지연제 혼입 콘크리트의 부착전단강도 및 부식내구성 평가
- 힌지식 펌프 일체형 수문 고정장치의 안전성 평가
- 자동화재탐지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실효성 검증시험
-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돌효과가 지하주차장 부속실제연설비의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소방 현장기반의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
- 대전지역 의용소방대원의 업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구획 내 플래시오버 발생 한계 열방출률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발화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 개구부의 연소특성과 성능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 개구부의 크기에 따른 외부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사용자 측면에서 코로나19 재난문자에 관한 기대요인과 만족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의 주요 토픽 분석
- 유출곡선지수(CN)를 이용한 침투시설 간편 설계법 개발
-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 가뭄 예보의 적극성율 지수 개발 및 2021-2023 가뭄 적극성 분석
- 재난회복력을 바탕으로 한 도로 복구 우선순위 지수 개발
- 탄소나노튜브 혼입 고강도 경량 시멘트 복합체의 휨강도 평가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3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