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이용수 232
- 영문명
- Analysis of Spatial Patterns Among Vulnerable Groups in the Community Vulnerable to Heat Waves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오상원 하동오 정주철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4호, 31~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전 세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일 최고기온 증가, 폭염일수의 증대 등으로 인해 인명피해 및 피해액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추세이다. 이에 따라 폭염으로 인한 취약계층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며, 실질적으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취약계층에 대한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간 및 공간적 범위로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전국 시군구들을 대상으로 폭염취약성 지수에 따른 폭염 취약지역을 선정하고, moran’s I 공간자기상관 분석 및 LISA군집지도 분석을 통한 공간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취약계층 거주 및 활동 지역과 폭염 위험지역과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무더위쉼터정책의 적용에 대하여 환경 부정의 지역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number of human casualties and damag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owing to increases in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number of heat wave day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refore, considering the class vulnerable to heat waves and setting standards for the vulnerable class expected to suffer substantial damage are essential. Therefore, in terms of time and space, this study selected heatwave-vulnerable areas according to the heatwave vulnerability index, targeting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nationwide from 2010 to 2018, and performed spatial analysis using Moran's I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LISA cluster map analysis. proceeded.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socially vulnerable living and activity areas and the heat wave risk area was confirmed, and the area of environmental negativity for applying an extreme heat shelter policy was derive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AV 영상정보를 활용한 유역전체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의 위험단면 산정
- 저층수 배수를 위한 가동보의 안전성 평가
- 연속호우 기반 댐 붕괴모의에 관한 연구
- 한랭지역 기후조건에서 철도교량기초 거동 및 단열재 적용성 평가
- 토석류 사례 분석을 통한 구조물 취약곡선 개발
- 경사 지반에서 액상화에 따른 지반-말뚝 동적상호작용
- 철도교량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PointNet++기반 레일 자동 탐지 기술 연구
- 경화 지연제 혼입 콘크리트의 부착전단강도 및 부식내구성 평가
- 힌지식 펌프 일체형 수문 고정장치의 안전성 평가
- 자동화재탐지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실효성 검증시험
-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돌효과가 지하주차장 부속실제연설비의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소방 현장기반의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
- 대전지역 의용소방대원의 업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구획 내 플래시오버 발생 한계 열방출률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발화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 개구부의 연소특성과 성능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 개구부의 크기에 따른 외부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사용자 측면에서 코로나19 재난문자에 관한 기대요인과 만족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민원의 주요 토픽 분석
- 유출곡선지수(CN)를 이용한 침투시설 간편 설계법 개발
-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 가뭄 예보의 적극성율 지수 개발 및 2021-2023 가뭄 적극성 분석
- 재난회복력을 바탕으로 한 도로 복구 우선순위 지수 개발
- 탄소나노튜브 혼입 고강도 경량 시멘트 복합체의 휨강도 평가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3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